SK바이오사이언스는 전사 차원에서 폐기물 발생으로 인한 환경오염을 방지하고자 공정 중 발생하는 폐기물 발생량을 관리하고 있습니다. 발생 단계부터 처리까지 전 공정을 모니터링하고 있으며, 공정 간 오염될 수 있는 폐기물은 반출 전 멸균을 실시하고 있습니다. 주변 환경을 오염시킬 우려가 있는 유해한 폐기물인 지정폐기물을 처리할 때는 외부 업체를 선정하여 엄격한 별도 배출을 실시하는 등의 노력을 이어 가고 있습니다.
폐기물 경영 방침
<매출액 대비 폐기물 배출량>
연도 | 배출량(t) | 감축 목표(*매출액 대비 폐기물 발생량) | 재활용률 | ||
---|---|---|---|---|---|
목표 | 실제 달성률 | 목표 | 실제 달성률 | ||
2019 | 275 | 0.15 이하 | 0.149 | 45% 이상 | 64.4% |
2020 | 353 | 0.15 이하 | 0.156 | 45% 이상 | 53.8% |
2021 | 477 | 0.1 이하 | 0.051 | 50% 이상 | 53.4% |
2022 | - | 0.1 이하 | - | 50% 이상 | - |
- * L HOUSE 기준
- ** 원단위 배출량: 폐기물 배출량(t)/매출액(억 원)
<폐기물 배출량 및 재활용률>
분류 | 단위 | 2019 | 2020 | 2021 | ||
---|---|---|---|---|---|---|
L HOUSE* | 유해 폐기물 | 처리 | t | 93 | 54 | 42 |
일반 폐기물 | 소각(위탁) | t | 65 | 138 | 203 | |
매립 | t | - | - | - | ||
재활용 | t | 118 | 161 | 232 | ||
합계 | t | 275 | 353 | 477 | ||
원단위 배출량 | t/백만 원 | 0.00149 | 0.00156 | 0.00051 | ||
재활용률 | % | 64.4 | 53.8 | 53.4 | ||
본사 및 R&D 센터* | 유해 폐기물 | 처리 | t | 19.04 | 20.30 | 33.94 |
일반 폐기물 | 소각(위탁) | t | 3.63 | 4.12 | 4.83 | |
매립 | t | - | - | - | ||
재활용 | t | 3.69 | 3.85 | 6.45 | ||
합계 | t | 26.36 | 28.28 | 45.22 | ||
원단위 배출량 | t/백만 원 | 0.00031 | 0.00012 | 0.00004 | ||
재활용률 | % | 50.35 | 48.3 | 57.17 |
- * 본사 및 R&D 센터, L HOUSE 모두 전량 위탁 처리
미처리 폐기물
SK바이오사이언스는 중대한 미처리 폐기물을 보유하고 있지 않으며, 발생 폐기물은 전량 위탁 처리합니다.
유해화학물질 관리체계
SK바이오사이언스 L HOUSE는 인벤토리를 구축하여 유해화학물질을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있습니다. 유해화학물질의 노출이나 폐기 등으로 발생할 수 있는 근로자와 인근 생태계, 지역사회에 이르는 광범위한 이해관계자 집단의 위험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신규 화학물질 도입 전에 유해성을 검토하고 있습니다. 또한 유해화학물질의 사용량을 최소화하도록 관리하고 있습니다.
SHE IT 시스템을 도입하여 신규 화학물질의 물질안전보건자료(MSDS)를 전산으로 관리하는 시스템을 구축하였으며, 향후 사업장 내에서 사용하는 전체 화학물질에 대한 화학물질 위험성 평가(CHARM, Chemical Hazard Risk Management)를 실시하여 위험 요소를 상세 분석하고 관리 계획을 고도화할 예정입니다.
또한, 화학물질관리시스템(CMS, Chemical Management System)을 도입하여 화학물질의 반입, 사용, 폐기 등 전 공정에 걸쳐 시스템화된 관리가 이뤄질 수 있도록 투자할 계획입니다.
유해화학물질 안전교육
SK바이오사이언스는 화학물질의 위험성에 대한 인식을 높이기 위해 신규 입사자 교육과 정기 교육에 주요 화학물질에 대한 내용을 포함시키고 있으며, 신규 화학물질 도입 시에도 해당 위험성에 대한 물질안전보건자료 교육을 실시하고 있습니다.
또한 유해화학물질에 대한 보호구 착용 기준을 마련하여 사용자 교육을 실시하고 있으며, 2022년에는 취급자를 대상으로 별도의 특별안전교육을 실시하는 등 사용자에 대한 위험 예지 활동을 통해 관련 사고 예방에 최선을 다하고 있습니다.
<화학물질 관리 2021년 목표 및 성과, 2022년 목표>
2021년 목표 및 계획 | 2021년 성과 | 2022년 목표 및 계획 |
---|---|---|
화학물질 입출고 실시간 모니터링 | 창고관리시스템(WMS) 활용한 화학물질 입출고 관리체계를 도입하여 화학물질 사용 모니터링 실시 | 전 공정 화학물질 위험 평가(CHARM) 실시 |
물질안전보건자료(MSDS) 관리 전산화 | MSDS 전산화를 통한 데이터베이스 관리 및 접근 편의성 증대 | 화학물질 관리 체계화 시스템 도입 |
<유해화학물질 배출량>
구분 | 단위 | 2019 | 2020 | 2021 |
---|---|---|---|---|
L HOUSE 배출량 | t | 3.5 | 0.4 | 0.5 |
대기오염물질 관리
SK바이오사이언스는 화석연료 사용으로 발생하는 대기오염물질을 저감하기 위하여 보일러 설비 원료를 LNG로 교체하는 등 사전 계획 단계에서부터 배출량 관리를 실시하고 있습니다. 또한 대기오염물질을 정기적으로 측정하고 있으며, 방출 오염물을 기준치 미만으로 유지·관리 중입니다.
당사 L HOUSE는 냉동기 가동 시 발생하는 오존층 파괴 물질을 최소화하기 위해 친환경 냉매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또한, 외부에서 작업장으로 유입되는 공기질을 측정하여 신선한 공기가 기준 대비 30% 이상 공급되도록 관리하고 있습니다. 더불어 분리 공조 및 국소 배기 설비 등을 가동, 실내 오염원을 제어하고 외부 오염원 유입을 차단하여 작업장 내 구성원의 건강을 철저히 보호하고 있습니다.
<대기오염물질 관리 (L HOUSE 기준)>
구분 | 단위 | 2019 | 2020 | 2021 |
---|---|---|---|---|
질소산화물(NOx) | ppm t/년 | N/A | N/A | 38 1.9 |
황산화물(SOx) | ppm t/년 | N/A | N/A | 11 0.5 |
먼지 | mg/S㎥ t/년 | N/A | N/A | 3 0.1 |
수질오염물질 관리
SK바이오사이언스는 폐수 발생량을 최소화하고 용수 사용량을 저감하기 위해 수자원을 관리하고 있습니다. 우선, 수질오염 위험을 효과적으로 저감하기 위해 바이오킬(Biokill) 시스템을 활용하고 있습니다. 공정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생물학적 위험을 방류 전에 제거·처리하여 수소이온 농도(PH)를 조절하고 있으며, 사전 처리 설비를 통해 방류수의 오염도를 저감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또한, 월별 폐수 배출량을 모니터링하고 사용량을 저감할 수 있는 방안을 수립하고 있습니다. 2022년에는 폐수 측정계를 추가로 설치하여 발생원별 수치를 모니터링, 폐수 발생 원인을 정밀하게 파악할 계획입니다. 이를 바탕으로 배출량 목표를 수립하고 더욱 세밀하게 관리할 예정입니다.
용수 사용량 저감을 위해 공장용수를 재활용하고 있으며, 화장실 위생기구 및 RO수 탱크실에서 처리용수를 활용하는 방안을 모색하고 있습니다. 공장 안에 우수조를 설치하여 빗물을 활용하고 있으며, 물 절약을 위한 친환경 식생을 실시하여 용수 사용을 관리하고 있습니다.
<수질오염물질 농도 (L HOUSE 기준)>
분류 | 단위 | 2019 | 2020 | 2021 |
---|---|---|---|---|
BOD | mg/L(ppm) | 107.4 | 223.6 | 317.9 |
COD | mg/L(ppm) | 79.4 | 110.5 | 173.0 |
SS | mg/L(ppm) | 36.4 | 46.4 | 74.0 |
T-N | mg/L(ppm) | 16.0 | 18.7 | 24.7 |
T-P | mg/L(ppm) | 3.7 | 5.2 | 5.6 |
합계 | mg/L(ppm) | 242.9 | 404.4 | 595.2 |
<공급원별 총 취수량>
분류 | 단위 | 2019 | 2020 | 2021 | |
---|---|---|---|---|---|
L HOUSE | 공업용수 | t | 49,398 | 45,828 | 46,135 |
생활용수 | t | 55,038 | 72,876 | 92,585 | |
지하수 | t | - | - | - | |
하수 재이용수 | t | - | - | - | |
합계 | t | 104,436 | 118,704 | 138,720 | |
본사 및 R&D센터 | 공업용수 | t | 4,748 | 4,974 | 8,084 |
생활용수 | t | 12,989 | 13,785 | 12,713 | |
지하수 | t | - | - | - | |
하수 재이용수 | t | - | - | - | |
합계 | t | 17,737 | 18,759 | 20,797 |
<용수 사용량>
분류 | 단위 | 2019 | 2020 | 2021 | |
---|---|---|---|---|---|
L HOUSE | 상수 사용량 | t | 104,436 | 118,704 | 138,720 |
지하수 사용량 | t | - | - | - | |
총 사용량 | t | 104,436 | 118,704 | 138,720 | |
데이터 적용 범위 | % | 100 | 100 | 100 | |
본사 및 R&D센터 | 상수 사용량 | t | 17,272 | 18,419 | 20,360 |
지하수 사용량 | t | 465 | 340 | 437 | |
총 사용량 | t | 17,737 | 18,759 | 20,797 | |
데이터 적용 범위 | % | 100 | 100 | 100 |
<용수 재이용률>
분류 | 단위 | 2019 | 2020 | 2021 | |
---|---|---|---|---|---|
L HOUSE | 폐수 재이용 | t | 9,504 | 9,504 | 9,504 |
하수 재이용 | t | - | - | - | |
총 재이용량 | t | 9,504 | 9,504 | 9,504 | |
재이용수 사용률* ** | % | 9 | 8 | 7 |
- * 용수 재이용수 사용률 산정 기준: 재이용수 사용률 = (폐수 재이용수+하수 재이용수) / (공업용수+생활용수+지하수+하수 재이용수) x100
- ** 유량계 지시값을 기준으로 24시간 365일 가동하는 것으로 산정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