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 메뉴 바로가기카테고리 메뉴 바로가기본문 바로가기
Social

구성원 행복

BS 행복경영

SK바이오사이언스는 따뜻한 프로페셔널들이 몰입을 통해 구성원 본인의 성장과 회사의 성과를 창출하는 고성과 조직문화를 추구하고 있습니다. 구성원이 행복해야 몰입할 수 있고, 몰입해야 성과 창출이 가능하다고 믿기 때문에, 따뜻한 프로페셔널들이 업무에 몰입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다양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CEO와 구성원이 행복에 대해 소통하는 ‘해피맨토크’를 연 100회 실시하여 소통의 선순환 구조를 구축해 나가고 있으며, 구성원 주도의 행복경영을 실행하기 위해 우행사(우리들의 행복한 바이오사이언스)를 선발하여 행복 정의 및 앵커 프로그램(Anchor Program)을 발굴하고 있습니다.

또한 SK Culture Survey를 매년 실시하여 조직문화 수준을 진단하고, 조치가 필요한 사항들을 발굴하여 개선해 오고 있습니다. 이를 바탕으로 구성원들이 회사 생활에서 행복을 느끼고, 업무 몰입을 통해 최상의 결과를 도출해 내는 건강한 조직문화를 조성하겠습니다.

다양성과 포용성

SK바이오사이언스는 채용 및 승진 과정에서 성별, 장애, 성적 지향, 연령, 인종, 출신 지역, 학력 등의 이유로 근로자를 차별하지 않고 동등하게 대우합니다. 이를 위해 성별 임금 비율, 직급별 성비, 근로자 계약 형태별 비율 등의 관리 지표를 설정하여 관리·공개하고 있으며, 지표상에서 확인되는 문제를 개선하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 또한 위의 내용과 관련된 각종 차별 및 비윤리 행위 등에 대한 상시 신고·제보를 받고 있습니다.

<구성원 성별 현황(겸직 포함)>

<구성원 성별 현황(겸직 포함)>총 구성원과 임원의 성별 현황을 2019년부터 2021년까지 표기하고 있습니다.
구분단위201920202021
총 구성원*331141556276636371
임원**123174256
  • * 모든 직접고용 구성원
  • ** 미등기임원

<구성원 중 여성 비율>

<구성원 중 여성 비율>총 구성원과 관리직의 여성 비율을 2019년부터 2021년까지 상세히 표기하고 있습니다.
구분상세구분단위201920202021
여성 비율총 구성원 대비 여성 비율%303337
관리직 여성 비율전체 관리직(임원+관리자) 중 여성 관리직 비율%161721
임원 제외 실무 관리자(G2~G3) 중 여성 관리자 비율%141622
전체 임원 중 여성 임원 비율%201919
수익 창출 부서/직급%201950
STEM직책 구성원%332631

SK바이오사이언스는 유능한 여성 인재가 능력을 충분히 발휘해 차세대 리더로 성장하여 다른 사람의 롤모델이 될 수 있는 조직문화를 만들기 위해 노력합니다. 여성의 의사결정 과정 참여와 리더십에 공평한 기회를 보장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또한 여성 임원의 수를 늘리고, 여성 리더십 교육과 멘토링 등을 실시하여 차세대 여성 리더를 육성하고 있습니다.

<연령별 구성원 현황>

<연령별 구성원 현황>구성원의 연령대별 분포를 2019년부터 2021년까지 표기하고 있습니다.
구분단위201920202021
30세 미만153401546
30 ~ 50세297397422
50세 이상223439

<장애인 및 보훈대상자 구성원 비율>

<장애인 및 보훈대상자 구성원 비율>장애인 및 보훈대상자의 구성원의 수와 비율을 2019년부터 2021년까지 상세히 표기하고 있습니다.
구분단위201920202021
장애인102143
%2.12.53.9
보훈대상자001
%000.4

SK바이오사이언스는 ‘장애인 일자리 창출 및 고용’을 적극적으로 시행하여 사회적 가치를 실현하기 위해 끊임없이 노력하고 있으며, 2021년 말 기준 3.91%의 장애인 의무고용률을 달성하였습니다.

또한 장애인들이 다양한 분야에서 새로운 직무를 경험할 수 있도록 장애인고용공단과 연계한 직무 개발 활동을 지속적으로 이어 나가며 일자리 창출에 힘쓰고 있습니다. 당사는 현재에 만족하지 않고 양질의 장애인 고용 활동의 사회적 모범사례가 될 수 있도록 더 많은 노력을 기울여 나갈 것입니다.

<근로자 신규 채용>

<근로자 신규 채용>신규 채용자의 수를 성별로 구분하여 2019년부터 2021년까지 표기하고 있습니다.
구분단위201920202021
신규 채용자 수59309067363240

<근로자 계약 형태별 비율>

<근로자 계약 형태별 비율>정규직과 비정규직의 근로자 수를 2019년부터 2021년까지 표기하고 있습니다.
구분단위201920202021
정규직432575675
비정규직40257332

정기 평가 및 피드백

<SK바이오사이언스 평가/보상 Policy>

SK바이오사이언스는 구성원이 스스로 목표를 수립하고, 목표 달성을 위해 리더와 연중 협의하며, 스스로 평가 과정에 참여할 수 있도록 KPI(Key Performance Indicator) 기반 성과평가 제도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또한 SK바이오사이언스에 필요한 핵심적인 역량을 정의하여 구성원이 주도적으로 관리하고, 행동 사례 기반으로 수준을 평가하는 역량평가를 진행합니다.

절대평가를 시행하여 불필요한 내부 비교와 과도한 경쟁을 막고, 상호 성공을 지원할 수 있는 분위기를 조성하고 있습니다. 구성원들은 도전적인 목표를 설정하고, 성과 창출과 역량 향상을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하고 있습니다. 실시간 소통과 피드백을 하며 과정 관리를 중시하는 상시 성과관리를 함께 시행 중이며, 보다 공정한 평가가 될 수 있도록 임원과 산하 리더들이 모여 시행하는 검토 세션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연초에는 구성원의 목표와 역량개발 계획을 공유하고 합의하는 목표수립 세션이 열리며, 연말에는 팀장이 정리한 구성원 평가 의견을 함께 확정하여 평가의 투명성과 공정성을 높이는 평가 세션을 운영합니다. 단편적인 판단에 그치지 않고, 구성원의 실질적 성과와 역량 향상을 돕는 것이 SK바이오사이언스 평가 제도의 본질적인 목적입니다.

<평가 프로세스>

또한 연 1회 동료평가(Peer Review)를 진행하여 함께 일하는 동료들의 시선에 비친 자신의 모습을 돌아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동료들이 말하는 자신의 특징을 이해하고, 장점을 강화하고 보완점을 개선하여 팀워크 강화로 이어질 수 있도록 도움을 주고 있습니다.

SK바이오사이언스의 보상 제도는 시장가치(Market Value)를 중심으로 조직별, 개인별로 맞춤화하여 운영되고 있습니다. 개인 역량을 반영하여 기준 연봉을 책정하고, 조직 및 개인 성과를 반영한 인센티브 제도를 운영함으로써 구성원들이 업무에 몰입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남성 대비 여성의 급여 비율*>

<남성 대비 여성의 급여 비율*>임원, G3, G2, G1, 사원으로 구분하여 남성 대비 여성의 급여 비율을 2019년부터 2021년까지 표기하고 있습니다.
남성 대비 여성 급여 비율 구분단위201920202021
임원%949192
G3%10196102
사원, G1, G2%949399
  • * 남성 대비 여성 임금 비율 = 여성 월 급여액/남성 월 급여액x100
  • ** 등기임원을 포함한 재직자 총 급여액 기준

구성원의 행복

근무환경 개선

SK바이오사이언스는 업무 몰입도 및 효율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구성원들의 의견을 적극 수렴하여 실험실 공간 및 업무 환경을 지속적으로 개선하고 있습니다. 또한 서울시 종로구에 스마트워크센터를 운영하여 출퇴근 시간을 줄이고, 외부 미팅 등에 자유롭게 활용하여 업무에 집중할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복리후생

구성원들이 행복한 기업을 만들기 위해 SK바이오사이언스는 다양한 제도를 지원하고 있습니다. 2022년 초 구성원 행복 증진 및 복지 향상을 위하여 구성원들의 자기계발과 생활을 지원하는 복지포인트 금액을 상향하였고, 건강검진과 백신 접종 등의 가족 지원을 확대하였습니다. 나아가 2022년 하반기에 구성원들의 목소리를 충분히 수렴하여 복지 제도를 보완해 나갈 예정입니다.

<복지제도>

<복지제도>주거지원, 공제/금융, 의료/건강, 자기계발로 구분된 복지제도들을 상세히 표기하고 있습니다.
구분복지제도
주거 지원복지포인트
친환경 농산물 구매
SK Family Card 연회비 지원
통신비 지원
주택융자 지원
학자금 지원
공제/금융경조금
자녀 입학 축하금
장기근속 포상
의료/건강의료비 지원
건강검진
백신 접종
자기계발사외 교육비용 지원
어학

<복리후생비>

<복리후생비>총 복리후생비와 인당 복리후생비를 2019년부터 2021년까지 표기하고 있습니다.
구분단위201920202021
총 복리후생비백만 원2,1922,8053,745
인당 복리후생비백만 원4.643.373.72

<건강 및 복지 관련 제도>

<건강 및 복지 관련 제도>구성원들에게 제공하고 있는 건강 및 복지관련 제도를 설명하고 비정규직 제공여부를 표기하고 있습니다.
제도/프로그램설명비정규직 제공 여부
출산휴가, 육아휴직, 난임치료휴가관련 법에 따라 구성원의 임신·출산·육아를 위한 휴가, 휴직, 근로시간 단축 등의 제도를 지원합니다.제공
자녀 학자금 지원유치원과 초·중학교 과정은 입학축하금을 지원하며 고등학교와 대학교는 자녀 수의 제한 없이 실비를 지원합니다.제공
각종 경조사 지원본인 및 가족의 경사 및 조사에 대해 경조금과 휴가를 지원합니다.제공
가족 돌봄 휴직근로자가 질병, 사고, 노령 등으로 어려움을 겪는 가족을 보살펴야 할 경우 휴직 제도를 활용할 수 있습니다.제공
의료비 지원근로자와 직계가족의 의료비 중 공단부담금을 제외한 급여성·비급여성 진료비를 지원합니다.제공
유급휴직 지원질병이나 상병 및 기타 사유로 근로자에게 휴직이 필요할 경우 유급휴직 제도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제공
Fitness Center 운영구성원이 사내 Fitness Center를 이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습니다.제공

<복리후생 제도>

<복리후생 제도>건강 및 복지 제도 관련 비정규직과 정규직의 차이 여부를 표기하고 있습니다.
구분차이 여부
건강 및 복지 제도 관련 비정규직과 정규직의 차이있음

<퇴직연금 제도 운영 현황>

<퇴직연금 제도 운영 현황>퇴직연금제도 운영 현황을 2019년부터 2021년까지 표기하고 있습니다.
구분단위201920202021
확정급여형(DB)379406301

<근로 방식 다변화>

<근로 방식 다변화>다양한 근로 방식 제도와 설명, 비정규직 제공 여부를 표기하고 있습니다.
제도/프로그램설명비정규직 제공 여부
시차출퇴근제 유연근무제월 한도 내에서 근로자가 근무시간을 자유롭게 계획·운영할 수 있도록 시차출퇴근제와 유연근무제를 도입하였습니다.제공
재택근무 (사외 분산 근무)가족·자녀 돌봄 및 감염병 확산 등 불가피한 상황에 대응할 수 있도록 재택근무 제도를 운영하고 있습니다.제공
모바일 오피스근로자가 필요에 따라 자유롭게 활용할 수 있도록 서울시 종로구 서린동에 스마트워크센터를 구축·운영하고 있습니다.제공

SK바이오사이언스는 구성원의 일과 삶의 균형 및 업무 몰입 환경 조성을 위해 시차출퇴근제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구성원은 근무 시작 시간을 본인의 라이프 스타일이나 상황에 맞게 조정하고, 업무에 몰입하는 시간을 구성원이 스스로 선택할 수 있습니다.

또한 업무 몰입 및 유연한 근무를 위하여 스마트 워크(Smart Work)를 활성화하고 있습니다. 구성원 개인의 자율을 존중하고, 건강한 일과 삶의 균형을 지원하여 구성원 모두가 행복한 근무환경에서 몰입할 수 있도록 근로 방식을 지속적으로 개선해 나가고 있습니다.

<육아휴직 사용 현황>

<육아휴직 사용 현황>육아휴직 사용자와 복귀자, 복귀 후 12개월 이상 근무한 구성원을 성별로 구분하여 2019년부터 2021년까지 표기하고 있습니다.
구분단위201920202021
육아휴직 사용자 수1506411
육아휴직 후 복귀자 수150625
업무 복귀 후 12개월 이상 근무한 구성원 수001518

노사 문화

SK바이오사이언스는 SKMS(SK Management System)를 바탕으로 한 진정성 있는 다양한 소통 채널을 통해 상생과 화합의 노사문화를 만들어 가고 있습니다.

L HOUSE 중심의 노동조합(2022년 3월 기준, 121명)과 임금 및 단체협약을 진행하여 조합원들의 근로조건 향상 및 회사 생산성 향상을 위한 노사 공동의 노력을 경주하고 있으며, 노사협의회를 통해 공장 내 상호존중문화 확립 및 근무환경 개선에 힘쓰고 있습니다.

2021년에는 회사의 발전과 구성원의 행복, 그리고 세계 일류 품질 확보를 통한 경쟁력 강화를 위해 적극 노력하고, 상생과 협력의 노사 화합을 기반으로 지역사회를 위한 다양한 사회공헌 활동에 적극 동참하여 사회와 국민으로부터 사랑받는 기업이 되도록 최선을 다한다는 노사 상생 협력 선언문을 채택하여 선포하였습니다.

이러한 노동조합과의 협력적 소통 외에도 구성원의 페인 포인트(Pain Point)를 청취하고 행복 프로그램을 기획하는 전사 노사공동위원회인 우행사(우리들의 행복한 바이오사이언스)를 운영, 구성원의 의견을 수시로 경청하여 경영활동 및 조직 운영에 반영하고 있습니다. 또한 전 직원이 참관하는 분기별 경영설명회 BS+를 개최하여 경영 전반에 대한 구성원의 이해도를 높이고, 노사가 한뜻으로 회사 성장에 적극 동참하는 소통문화를 활성화하고 있습니다.

아울러 구성원 고충 해소를 위한 노사 고충처리위원 운영, 직장 내 괴롭힘 개선 지침 제정 등을 통해 구성원 간 인권침해 행위에 대한 경각심을 고취하고 잠재적 인권 이슈에 대한 선제적 예방을 강화하고 있으며, 노사 산업안전보건위원회를 통해 구성원 모두가 안전하고 행복한 근로 환경을 마련해 나가고 있습니다.

<노동조합 및 노사협의회 가입 현황>

<노동조합 및 노사협의회 가입 현황>노동조합 및 노사협의회 가입 인원과 비율을 2019년부터 2021년까지 표기하고 있습니다.
구분단위201920202021
노동조합 및 노사협의회 가입 인원9911267
노동조합 및 노사협의회 가입 비율%10010097.1

인재 육성

SK바이오사이언스는 공통 핵심가치 전달을 위한 핵심가치(Value) 교육, 미래 준비를 위한 리더 육성 프로그램 및 글로벌 역량 강화 교육, Hi-Po(핵심인재) 교육, 직무 분야별 전문가 육성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 등을 운영하여 글로벌 인재 양성에 최선을 다하고 있습니다.

2022년부터 SK바이오사이언스는 BS Academy를 구축하고, 구성원들이 당사의 인재상인 ‘따뜻한 프로페셔널’에 부합하는 인재로 성장할 수 있도록 핵심가치(Value) 및 역량 확보를 지원하는 교육을 시행하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직무 체계를 재정립하고, 직무별 전문가 트랙을 고려한 교육 과정을 개발하는 등 교육체계 완성도를 높여 나갈 예정입니다.

리더 육성

아울러 신임 팀장에 보임된 구성원에겐 온보딩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팀장에게 요구되는 역할을 정립하고, 성과 창출과 조직관리 핵심 역량을 개발하기 위한 정기적인 교육을 통해 신임 리더가 직책자로서 업무를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습니다. 또한 리더십을 객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매년 ‘리더십 다면진단’을 실시하고, 교육과 코칭 등의 리더십 개발 기회를 제공하여 리더를 효과적으로 육성하고 있습니다. 2022년에는 개별 진단 결과에 따른 해석 및 맞춤형 솔루션을 제공하여 리더십 스킬을 함양해 나갈 예정입니다.

신규 구성원 교육

SK바이오사이언스는 SK그룹 및 회사에 대한 이해도를 제고하고, 구성원들의 조직 적응력을 높이기 위한 온보딩 교육 프로그램도 진행하고 있습니다. 신입과 경력 등 영입 유형에 따른 맞춤형 프로그램을 기획·개발하여 신규 구성원이 조직을 이해하고, 조기에 연착륙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습니다.

<구성원 교육 현황>

<구성원 교육 현황>구성원의 교육시간과 비용을 2019년부터 2021년까지 상세히 표기하고 있습니다.
구분단위201920202021
1인당 연평균 교육 비용백만 원1.110.781.05
총 교육 비용백만 원530654982
1인당 연평균 교육 시간시간30106
총 교육 시간시간14,3728,4985,537

<구성원 만족도(몰입도)>

<구성원 만족도(몰입도)>구성원의 만족도를 참여 인원과 비율, 점수로 구분하여 2019년부터 2021년까지 표기하고 있습니다.
구분단위201920202021
참여 비율%-59.161.3
참여 인원-204328
총 점수63.366.865.3

안전보건 경영방침

SK바이오사이언스는 인간 중심의 경영원칙을 근간으로 하는 안전보건환경(SHE: Safety, Health and Environment) 경영 시스템을 정립하였습니다. 당사는 이해관계자의 행복을 궁극적인 목표로 삼은 SHE 경영 추구 가치 및 방침을 준수하여 SHE 경영 시스템을 지속적으로 고도화하고, 산업 내 SHE 선도 기업으로서 입지를 공고히 다질 것입니다.

<SK바이오사이언스 SHE 경영 시스템>

SK바이오사이언스 안전보건경영 관리체계의 근간은 SHE 경영 방침입니다. 당사는 관련 법규 및 표준 준수, 위험 요인 개선 이외에도 자율적인 안전문화를 조성하여 지속적으로 무재해 사업장을 구현해 나가고 있습니다.

안전하고 건강한 사업장 구현
  • 안전한 근무환경을 만들기 위해 자율적인 안전문화를 조성합니다.
  • 안전 관련 법규와 안전작업 표준을 준수하고 위험 요인을 지속적으로 개선하여 무재해 사업장을 구현합니다.
  • 유해인자 취급 공정의 안전한 작업 방법을 실행하고 질병 예방과 건강 증진을 위한 활동을 전개합니다.
  • 비상대응체계 상시 운영을 통해 사업 연속성을 유지하고 구성원과 이해관계자, 지역사회의 피해를 최소화합니다.

내부 체계

SK바이오사이언스는 SHE 경영 관리규정을 수립하여 내부적으로 일관성 있게 SHE 경영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2021년에는 본사와 L HOUSE에 각각 SHE 전담조직을 신설하여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있습니다.

<SHE 경영 내부 체계>

안전보건 국제 인증

SK바이오사이언스 L HOUSE는 2016년 안전보건경영 인증인 OHSAS 18001과 KOSHA 18001을 획득한 바 있고, 2018년 안전보건경영시스템 국제표준인 ISO 45001을 획득하였습니다. 2022년 하반기에 ISO 45001 갱신 심사를 진행해 인증을 유지할 예정입니다.

SHE 경영 목표

SK바이오사이언스는 SHE 경영 목표를 수립하여 구성원, 이해관계자, 지역사회 및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사업장 내 SHE 사고 발생을 저감하고 관련 법규를 준수하며, 안전·보건·환경 영향을 통합적으로 관리해 나가고 있습니다.

<SHE 목표>

<SHE 목표, 계획 및 성과>

<SHE 목표, 계획 및 성과>2021년 SHE 목표, 계획 및 성과와 2022년 목표 및 계획을 표기하고 있습니다.
2021년 목표 및 계획2021년 성과2022년 목표 및 계획
건강관리실 & 코로나 상황실 운영근로자 건강 증대 및 코로나 신속 대응을 위한 건강관리실 및 상황실 구축가스 누출 지역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 도입
직책자별 SHE Patrol 제도 운영월별 팀장 합동 점검을 통한 리더급 관리자 SHE 점검 활동 실시SHE 상황실 운영을 통한 위기통합 대응 체계 구축
방문객 교육 동영상 제작 방문객 교육용 동영상 제작하여 사업장 내 출입 인원 SHE 교육 강화외주/공사 업체 SHE 관리 규정 강화
SHE IT 시스템 구축SHE 시스템 일원화를 위한 SHE IT 시스템 구축 운영SHE IT 시스템의 모바일 적용 관리

안전보건 위험평가 프로세스

SK바이오사이언스는 SHE 위험 요소 제거를 안전보건경영체계 이행의 주요 과정으로 명시하고 있으며, 근로자의 건강과 재해 예방을 위해 모든 작업에 대한 위험성 평가를 실시하고 있습니다. 이로써 당사는 잠재적 위험성을 비롯해 작업 간 발생할 수 있는 위험성을 발굴하고 안전보건 조치를 이행하여 근로자가 안전한 환경에서 작업할 수 있도록 관리하고 있습니다.

<안전보건 위험평가 프로세스>

SK바이오사이언스는 위험성 평가의 대상과 범위를 정하는 사전준비 단계를 시작으로, 전체 작업에 대한 평가를 수행합니다. 이후 유해위험 요인 파악 단계에서 각 단위 작업별 위험 요인을 평가하여 위험 작업과 유해위험 요인을 기준으로 작업을 분리하고 있습니다.

위험성 추정 및 결정 단계에서는 각 유해위험 요인별로 부상 또는 질병으로 이어질 수 있는 가능성과 중대성의 크기를 추정한 뒤, 위험성의 크기를 산출하여 허용 가능한 위험성 여부를 확인하고 있습니다.

위험성 감소 대책의 수립 및 실행 단계에서 허용 불가능한 위험성을 합리적으로 실천 가능한 범위에서 최대한 낮은 수준으로 감소시키기 위한 대책을 수립한 뒤, 지속적인 개선 및 점검을 통해 평가 결과가 현장에 적용되었는지를 확인하고, 변화된 작업 환경 속에서 새로운 위험 요인이 발생했는지 여부 등을 파악하고 있습니다.

산업안전보건 관리

SK바이오사이언스는 사업장 내 근로자의 건강과 재해 예방을 위해 본사와 L HOUSE에 각각 노사 공동의 산업안전보건위원회를 설치하였습니다. 산업안전보건위원회는 매 분기별로 회의를 열어, 사업장의 기본적인 안전보건경영시스템을 비롯해 변경된 주요 안전보건수칙에 대한 근로자의 의견을 청취하고, 해당 내용이 실제로 반영될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습니다.

특히 각 산업안전보건위원회를 노사 동수(본사 7인, 안동 6인)로 구성하여 근로자의 안전을 실질적으로 보호할 수 있는 개선 방안과 후속 조치 모색을 위한 기반을 마련하였습니다.

<사업장별 산업안전보건위원회 운영 현황>

안전문화 확산

안전교육 프로그램 시행

SK바이오사이언스는 전 구성원을 대상으로 SHE 교육을 실시하고 있으며, 당사의 특성을 반영한 방문자용 SHE 교육 동영상을 별도로 제작하여 모든 방문자가 사전에 해당 규정을 인지할 수 있도록 안내하고 있습니다.

2022년에는 구성원의 SHE 역량 향상을 위한 외부 SHE 교육을 진행할 예정입니다, 당사의 모든 구성원이 산업안전보건 관리의 필요성을 깨닫고 자발적으로 참여하는 문화를 조성할 수 있는 활동을 개발해 지속적으로 실시할 예정입니다.

<안전교육>

<안전교육>안전교육의 이수 인원과 교육 시간을 2019년부터 2021년까지 상세히 표기하고 있습니다.
구분단위201920202021
총 교육 시간시간9,34011,48816,872
교육 이수 인원474617939
인당 총 교육 시간시간본사: 사무직-12, 비사무직-24 안동: 16본사: 사무직-12, 비사무직-24 안동: 16본사: 사무직-12, 비사무직-24 안동: 16

안전문화 수준 평가

SK바이오사이언스는 관계사 간 SHE 활동 점검을 실시하여 객관적인 평가를 통해 사업장 SHE 시스템을 개선하고 있습니다. 2022년부터는 평가 및 개선 활동을 체계화하기 위해 체크리스트를 활용한 SHE 활동 평가를 실시하고, 관계사의 타 사업장과 지속적인 교류 유지 및 벤치마킹을 통해 안전문화 수준을 평가하고 미비점을 개선해 나갈 계획입니다.

안전한 작업환경 구축

SK바이오사이언스는 사업장 내 위험 요인을 발굴하고 개선하기 위해 현장 근로자의 의견을 지속적으로 청취하고 있습니다. 경영진의 SHE 활동 참여를 확대하기 위하여 매월 각 팀 리더가 참여하는 SHE 합동 점검을 실시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개선 기회를 확보하고 있습니다. 또한 직접적·가시적 사고 및 위험 요인뿐만 아니라 사업장 내 아차사고(Near Miss)도 지속적으로 발굴하여 작은 위험 요소도 잔존하지 않도록 관리하고 있습니다.

구성원 보건 관리

보건 서비스

SK바이오사이언스는 구성원의 안전한 작업 수행 및 건강 관리를 위해 다양한 제도를 운영하고 있으며, 질병 예방에도 힘쓰고 있습니다.

SK바이오사이언스는 구성원 건강 증진을 위해 전 구성원을 대상으로 정기 건강검진을 실시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구성원의 건강 이상 유무를 미리 확인하고, 유소견 구성원은 별도로 관리하는 등 건강 및 질환에 대해 선제적인 접근법을 취하고 있습니다. 또한 건강관리실을 운영함으로써 건강 상담은 물론, 직장 내 응급처치, 유해물질로 인한 장해 예방, 근골격계질환 관리 및 직무 스트레스와 같은 정신적인 질환의 예방 관리까지 지원하고 있습니다.

이외에도 독감 등 감염 위험이 있는 질병을 예방하기 위한 접종 및 의료서비스를 제공하여 근로자가 건강한 상태로 작업에 집중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으며, 다이어트 및 근력강화 운동과 같은 건강 증진 프로그램과 연계하여 구성원들이 자발적으로 건강을 증진하도록 독려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2022년부터 건강 증진 프로그램 우수 참여 구성원에게 상품을 지급하는 등의 방법으로 참여도를 높이고, 프로그램을 체계화할 계획입니다.

현장 SHE 점검 제도

SK바이오사이언스는 작업 위험성 평가 단계에서부터 근로자의 보건 위해 요소를 파악하고 관리하기 위해 정기적으로 안전보건 점검을 실시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현장 내 보건 위험 요소를 상시 확인하고 있으며, 근로자의 건강을 해칠 수 있는 공정이나 유해물질을 도입하는 경우 그 위험성을 사전에 검토하여 위험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작업 방법을 채택하고 있습니다.

구성원 안전 지표 관리

SK바이오사이언스는 구성원의 안전과 관련된 다양한 지표를 수집·관리하고 있으며, 이를 투명하게 공개하고 있습니다.

<산업안전 재해 현황>

<산업안전 재해 현황>산업안전 재해의 발생건수, 재해율, 빈도율, 손실, 사망사고 건수 등을 2019년부터 2021년까지 상세히 표기하고 있습니다.
구분단위201920202021
산업재해발생 건수건수101
발생 비율%0.2100.16
근로손실재해율 LTIFR(구성원)건/백만 근무시간0.2100.16
산업재해빈도율 TRIFR(구성원)건/백만 근무시간1.0500.50
총 근무시간시간948,0001,664,0002,014,000
손실손실일수14029
손실일수율%0.01500.014
업무 관련 사망사고 건수구성원000
협력업체000
비율%---

협력사 안전보건 관리

SK바이오사이언스의 안전보건경영 활동은 당사에 국한되지 않습니다. 협력사의 사고 예방을 위하여, 상주 협력사 근로자를 포함한 사업장 내 모든 작업 근로자에게 안전보건 교육을 실시하고 있으며, 매월 작업 간 안전보건 점검을 시행하여 개선 활동을 지속하고 있습니다.

또한, 협력사 선정 시 안전보건 적격성 평가를 실시하여 업체의 안전보건을 위한 투자를 유도하고 있습니다. 2022년부터는 협력사 적격성 평가를 의무화하고, 매 분기마다 협력사의 안전보건 수준을 평가하여 추가 계약에 반영하는 등 안전보건의 중요성을 지속적으로 강조할 예정입니다.

SK바이오사이언스는 사업장에 발생하는 모든 안전보건 관련 사항에 대해 이해관계자와 지속적으로 소통하고 있습니다. 또한 협력사 자체 안전보건 교육 이행 여부를 확인하는 등 협력사가 스스로 안전보건 시스템을 개선하도록 독려하고 지원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