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중요성 평가

이중 중요성 평가

이중 중요성 평가

SK바이오사이언스는 ESG 경영의 핵심 주제를 도출하고 이를 ESG 전략 및 의사결정에 반영하기 위해 매년 중요성 평가를 실시하고 있습니다. 2025년에는 평가의 신뢰성과 국제 기준 부합성을 강화하기 위해 유럽재무보고자문그룹(European Financial Reporting Advisory Group, EFRAG)이 정의한 중요성 평가 이행 가이던스(Materiality Assessment Implementation Guidance)에 따라 이중 중요성 평가(Double Materiality Assessment)를 수행하였습니다. 또한, 유럽 지속가능성 보고표준(ESRS) 및 GRI Standards의 보고 주제 선정 원칙을 반영하여 평가의 체계성과 객관성을 확보하였습니다.

이중 중요성 평가는 지속가능성 주제를 두 가지 측면에서 분석하는 과정으로, 기업 활동이 환경 및 사회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는 ‘영향 중요성(Impact Materiality)’과 지속가능성 주제가 기업의 재무적 가치에 미치는 위험과 기회를 분석하는 ‘재무 중요성(Financial Materiality)’을 고려하여 중요 주제를 도출하는 절차입니다. 이를 통해 SK바이오사이언스는 주요 이해관계자의 기대와 규제 요구사항을 파악하고, 이를 반영하여 장기적인 기업가치 창출을 위한 전략을 수립하고자 합니다.

이중 중요성 평가 프로세스
Step 1. 지속가능성 Topic List 구성

SK바이오사이언스는 기업의 지속가능성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 가치사슬 전반의 사업 활동과 내외부 이해관계자를 파악, 전년도 중요 주제를 검토하였습니다. 또한, 산업 내 주요 지속가능성 주제를 파악하기 위해 국내외 동종업계 선진기업 벤치마킹, ESG 평가 및 공시 기준, 글로벌 이니셔티브 등을 종합적으로 분석하였습니다. 이를 통해 총 25개의 지속가능성 Topic List를 도출하였습니다.

Step 2. 이슈별 영향, 위험 및 기회 분석

SK바이오사이언스는 25개 지속가능성 주제의 영향(Impacts), 위험(Risks) 및 기회(Opportunities) 요인을 식별하기 위해 다양한 지표 기반 분석을 실시했습니다.

영향, 위험 및 기회 분석

영향, 위험 및 기회 분석 구분, 분석 지표
구분 분석 지표
영향(Impacts) 요인
  • 국내외 동종업계 선도기업 벤치마킹
  • 글로벌 ESG 이니셔티브 분석
    • ISO26000, UN SDGs, UNGC(UN Global Compact)
    • PSCI(Pharmaceutical Supply Chain Initiative)
  • ESG 정보공시 기준: GRI(Global Reporting Initiative) Standards
재무 위험 및 기회(Risks & Opportunities) 요인
  • 전사 조직별 KPI, 이사회 안건 등 내부 자료 검토
  • ESG 대외 평가 표준 및 공시 기준
    • MSCI(모건스탠리캐피탈인터내셔널) ESG 평가
    • KCGS(한국ESG기준원) ESG 평가
    • DJSI(다우존스 지속가능경영지수)
    • SASB(Sustainability Accounting Standards Board) Standards
    • ESRS(European Sustainability Reporting Standards)
Step 3. 이중 중요성 평가

25개 지속가능성 주제에 대해 영향(Impacts), 위험(Risks) 및 기회(Opportunities) 요인을 분석하여 영향 중요성과 재무 중요성을 평가했습니다.

이중 중요성 평가 (이해관계자 설문)

이중 중요성 평가 (이해관계자 설문)
구분 영향 중요성 재무 중요성
평가 대상
  • 내외부 이해관계자
    • 구성원(Topic별 유관부서), 공급망, 제3자 전문기관
  • 내외부 이해관계자
    • 구성원(재무·기획, ESG 부서 등), 제 3자 전문기관
평가 항목
  • 영향 특성(긍정/부정)
  • 영향 기간(단기/중기/장기)
자세한 내용은 하단 참고해 주세요. 자세한 내용은 하단 참고해 주세요.
중요성 평가 요인
긍정적 영향 부정적 영향
발생가능성 발생가능성
규모 규모
범위 범위
회복불가능성
  • 영향 특성(위험/기회)
  • 영향 기간(단기/중기/장기)
자세한 내용은 하단 참고해 주세요. 자세한 내용은 하단 참고해 주세요.
중요성 평가 요인
긍정적 영향 부정적 영향
발생가능성 발생가능성
규모 규모
  • *영향 발생영역을 사업장(Own Operations), 업/다운스트림(Up/Downstream)으로 구분하여 평가
Step 4. 중요성 평가 결과

다양한 지표 분석 및 이해관계자 설문을 통해 이중 중요성 평가를 실시한 결과, 영향 중요 주제 5개, 재무 중요 주제 3개를 중요 주제로 도출하였습니다. 영향 중요 주제는 1) 인재 확보 및 전문 인력 육성, 2) 제품 안전 및 품질 강화, 3) 의약품 접근성 확대, 4) 유해 화학물질 및 오염물질 관리와 5) 윤리/준법경영 이행 순으로 도출되었습니다. 재무 중요 주제는 1) 의약품 접근성 확대, 2) 제품 안전 및 품질 강화, 3) 인재 확보 및 전문 인력 육성 순으로 도출되었습니다.

SK바이오사이언스는 본 ESG 홈페이지를 통해 영향 및 재무 중요 주제를 포함한 모든 지속가능성 주제에 대해 상세히 공시하고 있습니다. 또한 중요 주제는 이사회 수준의 검토를 거쳐 최종 확정되었으며, 이를 당사의 경영 및 ESG 전략과 연계하여 목표 및 성과를 투명하게 공개하고 있습니다.

지속가능성 Topic List

  • 영향 중요 주제
  • 재무 중요 주제
지속가능성 Topic List 환경
환경 (E)
유해 화학물질 및 오염물질 관리
기후변화 대응
자원 효율성 향상 및 재활용 확대
수자원 관리 강화
생물다양성 보존 활동 이행
제품 전과정 환경영향 최소화
환경경영 목표 및 성과 관리
지속가능성 Topic List 환경
사회 (S)
인재 확보 및 전문 인력 육성
제품 안전 및 품질 강화
의약품 접근성 확대
인권경영 및 다양성 확대
고객만족 경영 실천
사업장 안전 및 구성원 건강 관리 강화
지속가능한 공급망 구축
정보보안 관리
연구개발 및 임상시험 윤리 준수
윤리적 마케팅 및 소비자 권리 보호
사회공헌 및 지역사회 가치 창출
구성원 행복 증진
지속가능성 Topic List 환경
지배구조 (G)
윤리/준법경영 이행
이사회 중심의 투명/책임경영 강화
투명한 조세 관리 및 납부
지속가능한 혁신 및 시장 리더십 구축
이해관계자 소통 및 공시 강화
재무 및 비재무 리스크 통합관리
화살표
순위별 영향 중요 주제
순위 영향 중요 주제 전년 대비 순위 변동
1 인재 확보 및 전문 인력 육성 ▲ 9
2 제품 안전 및 품질 강화 ▲ 1
3 의약품 접근성 확대 ▲ 10
4 유해 화학물질 및 오염물질 관리 ▲ 2
5 윤리/준법경영 이행 ▼ 1
순위별 재무 중요 주제
순위 재무 중요 주제 전년 대비 순위 변동
1 의약품 접근성 확대 ▲ 12
2 제품 안전 및 품질 강화 ▲ 1
3 인재 확보 및 전문 인력 육성 ▲ 7
  • *전년도 중요 주제는 1) 중장기 성장동력 확보, 2) ESG 경영 내재화, 3) 제품 안전 및 품질 강화, 4) 윤리/준법경영 이행, 5) 기후변화 대응 등 총 11개였으나, 올해는 중요성 평가 프로세스 고도화, 중요 주제 관리 수준 강화 등에 따라 영향 중요 주제 5개, 재무 중요 주제 3개로 집중하여 선정했습니다. 당사의 산업 특성과 비즈니스 환경을 반영하는 ‘의약품 접근성 확대’의 순위가 상승하였고, ‘인재 확보 및 전문 인력 육성’, ‘유해 화학물질 및 오염물질 관리’, ‘제품 안전 및 품질 강화’, ‘윤리/준법경영 이행’은 올해도 중요 토픽으로 선정되었습니다.

중요 주제 현황 및 관리

영향 중요 주제

SK바이오사이언스는 가치사슬 전반에서 환경·사회에 미치는 영향이 큰 5개의 영향 중요 주제를 선정했습니다. 각 주제가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관련 가치사슬 영역과 주요 이해관계자를 정의하고, 영향 기간(단기/중기/장기)과 영향 측면(긍정/부정)을 평가했습니다. 이를 바탕으로 영향 관리 전략을 수립하고, 중장기 목표 및 이행 성과를 제시하며 당사의 사업과 연계된 ESG 경영 실천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영향 중요 주제
영향 중요 주제 중요도 순위, 주제, 영향 중요성
중요도 순위 주제 영향 중요성
가치사슬 상 영향 발생 영역 주요 이해관계자 영향 기간1) 영향 측면1)
단기 중기 장기 긍정적 부정적
인재 확보 및 전문 인력 육성 사업장, 공급망 구성원
제품 안전 및 품질 강화 사업장, 공급망, 제품·서비스 고객, 협력사, 주주/투자자
의약품 접근성 확대 사업장, 공급망, 제품·서비스 고객, 지역사회
유해 화학물질 및 오염물질 관리 사업장, 공급망 구성원, 협력사, 지역사회
윤리/준법경영 이행 사업장, 공급망 구성원, 협력사, 주주/투자자
  • 1)●: 높음, ◐: 중간, ○: 낮음
① - 인재 확보 및 전문 인력 육성

사업적 맥락

SK바이오사이언스는 글로벌 백신∙바이오 기업으로 도약하기 위해 미래 핵심 인력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여 예비 구직자 대상 맞춤 채용을 진행하고 있으며, 구성원 실무 역량 향상 및 전문성 강화를 위한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백신∙바이오 인재 확보 및 육성을 위한 SK바이오사이언스의 이러한 노력은 지속가능한 국내외 바이오 산업 생태계 발전에 기여할 것입니다.

영향 관리 전략

SK바이오사이언스는 인재 확보 및 전문 인력 육성을 전략으로 설정하고, 글로벌 인재 채용 프로그램과 인력양성 프로그램 등을 시행하고 있습니다.

중장기 목표, 2024 성과
중장기 목표 2024 성과
  • 글로벌 역량과 경험을 갖춘 핵심 인재 확보를 위한 채용 프로그램 운영
  • 글로벌 바이오 인력양성 허브로서 교육/현장 견학 지원을 통한 차세대 인재 육성
  • 우수 인재 대상 타깃 리크루팅 및 스마트 온보딩 프로그램 운영
  • 박만훈 장학금 지원을 통한 바이오 인재 육성
  • 글로벌 언어 교육 등을 통한 어학 수준 향상
  • 구성원 직무역량 강화를 위한 사내 및 외부 교육 2,613건 실시
② - 제품 안전 및 품질 강화

사업적 맥락

SK바이오사이언스는 품질관리시스템(QMS) 기반 국내외 GMP(우수제품 제조 및 품질관리 기준) 환경에서 의약품을 생산, 관리 및 판매하고 있습니다. 또한, 식품의약품안전처를 비롯하여 각 수행 국가의 규정 및 가이드라인을 바탕으로 임상 연구 및 시험, 품질보증, 의약품 전 주기에 걸친 약물감시를 수행하여 제품의 안전과 품질을 강화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생명과 직결되는 바이오 의약품에 대한 철저한 품질 및 안전 관리는 제품에 대한 고객의 신뢰 향상으로 연결되며, 장기적으로 자원 효율성을 증대시켜 불필요한 자원 또는 원료 소비를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영향 관리 전략

SK바이오사이언스는 의약품의 개발부터 고객의 구매에 이르기까지 모든 과정에서 엄격한 품질경영시스템(QMS)을 운영함으로써, 제품 안전 및 품질을 강화하여 지속가능한 공중보건 시스템 조성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중장기 목표, 2024 성과
중장기 목표 2024 성과
  • 정기 품질 검사, 제품 안전 및 품질 교육 대상 확대를 통한
    제품 안전성 및 품질 제고
  • 전자품질보증 시스템(eQMS) 도입을 통한 실시간 제품 품질 관련 일탈, 변경관리, 시정, 예방 등 관리 시스템 고도화
③ - 의약품 접근성 확대

사업적 맥락

SK바이오사이언스는 국제기구 공공조달 시장 참여, '글로컬라이제이션(Glocalization)' 사업 기반의 SKYShield 전략 이행을 통해 저소득∙중간소득 국가(LMIC)들의 공중보건 증진에 힘쓰고 있습니다. 의약품 접근성 확대를 통해 저소득∙중간소득 국가(LMIC)의 건강 불평등을 해소하고, 질병 조기 예방을 통해 장기적으로 사회적 비용 감소와 공공의료 시스템 강화에 기여하고자 합니다.

영향 관리 전략

SK바이오사이언스는 글로벌 백신 공급 불균형 문제 해결을 위해 글로벌 바이오 생태계 조성을 목표로 하는 여러 프로젝트 및 연구에 참여하고 있습니다.

중장기 목표, 2024 성과
중장기 목표 2024 성과
  • 게이츠 재단, 국제백신연구소(IVI) 등과의 파트너십 강화를 통한 저소득 국가 및 글로벌 차원의 백신 공급체계 고도화
  • 백신 공급망의 지역 분산화(글로컬라이제이션)를 통한 팬데믹 대응 체계 구축
  • RVMC(지역거점형 백신 제조협력체) 참여를 통한 글로벌 백신 불평등 해소 및 접근성 강화
  • WHO, GAVI 등과 협업하여 백신 공급망 개선에 기여
  • LMIC 국가의 파트너사 대상 PV교육 실시
  • 기초연구 지원, 박만훈상 시상, 글로벌 교육과정 참여 등을 통한 생태계 기반 확대
④ - 유해 화학물질 및 오염물질 관리

사업적 맥락

SK바이오사이언스는 제품의 모든 생산과정에 투입되는 자원을 재활용(Recycle), 재사용(Reuse)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글로벌 규제 강화에 발맞춰 유해화학물질 관리체계를 고도화하고, 자체 폐수처리 시설을 활용하여 수질오염 위험을 효과적으로 저감하고 있습니다. 지역사회와 고객의 건강과 환경을 최우선으로 보호하는 것은 당사의 중대한 책무이며, 오염물질 및 유해화학물질 관리 고도화는 고객의 신뢰를 제고하여 장기적인 브랜드 가치 상승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영향 관리 전략

ISO 14001 기준에 맞춰 환경경영시스템(EMS)을 구축하고, 환경 리스크 및 기회 요인 식별을 위해 매년 물환경보전법, 대기환경보전법 등 총 12가지 환경 법규에 대한 준수평가를 정기적으로 실시하고 있습니다. 또한 환경오염 및 화학물질 누출 사고 Zero화 등 환경영향 최소화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중장기 목표, 2024 성과
중장기 목표 2024 성과
  • 재활용률 향상을 위한 다양한 프로젝트 추진
  • 법규 모니터링을 통한 오염물질 체크리스트 항목 지속 업데이트 및 관리체계 고도화
  • 전 구성원 대상 정기 유해화학물질 안전교육 실시
  • 안동 L HOUSE 친환경 냉매 사용 및 정기적인 공기 질 측정을 통한 배기가스 관리
  • 수자원 관리를 위한 실험실 세척액 별도 배출체계 구축
⑤ - 윤리/준법경영 이행

사업적 맥락

SK바이오사이언스의 윤리·준법경영은 단순한 법적 의무를 넘어, 안전한 의약품 공급, 연구 신뢰도 확보, 공정한 산업 환경 조성, 사회적 신뢰 형성 등 다양한 사회적 가치를 창출합니다. 이를 위해 SK바이오사이언스는 ‘진정한 의미의 지속가능한 경영의 시작은 투명한 경영 실천’이라는 신념 하에 윤리규범과 윤리경영 원칙을 수립했습니다. 다양한 이해관계자를 고려한 윤리규범 실천지침을 기반으로 윤리∙준법경영 관리 시스템을 운영하고, 비윤리 행위에 대한 제보채널을 운영하며, 독립적인 감사 수행 등 투명한 경영 실천을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영향 관리 전략

SK바이오사이언스는 Prevent-Detect-Respond 측면에서 리스크를 사전에 예방하고, 윤리실천 내재화를 위해 윤리경영 관련 규정 및 가이드를 수립하여 운영하고 있습니다.

중장기 목표, 2024 성과
중장기 목표 2024 성과
  • 윤리실천 소통 및 인식 제고를 통한 윤리경영시스템 강화
  • 공정거래 자율준수 프로그램(Compliance Program, CP) 교육 확대, 마케팅 비용 상시 모니터링 통한 판매질서 위반행위 예방 및 윤리경영 체계 내재화
  • e-Legal system 개발을 통한 준법경영 이행 효율성 제고
  • 자체 및 SK그룹 윤리경영 교육 시행
  • 윤리경영 실천 Workshop 및 Survey 시행
재무 중요주제

SK바이오사이언스는 당사의 자산, 매출, 수익, 현금흐름 등 재무 성과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는 세 가지 재무 중요 주제를 선정했습니다. 각 주제를 분석함에 있어, 비용(cost), 매출(revenue), 리스크(risk) 측면에서 영향이 발생하는 영역을 면밀히 고려하고, 영향의 기간(단기/중기/장기)과 영향의 측면(위험/기회)을 검토했습니다. 당사는 주요 ESG 공시 프레임워크(지배구조, 전략, 위험 관리, 지표 및 목표)에 따라 주제별 대응 전략과 성과를 상세히 보고하고 있으며, 이를 경영 전략 수립에 적극적으로 고려할 계획입니다.

재무 중요 주제
재무 중요 주제
중요도 순위 주제 재무 중요성
재무 영향 영역 영향 기간1) 영향 측면1)
단기 중기 장기 위험 기회
의약품 접근성 확대
  • 매출
제품 안전 및 품질 강화
  • 비용
  • 매출
  • 리스크
인재 확보 및 전문 인력 육성
  • 비용
  • 매출
  • 1)●: 높음, ◐: 중간, ○: 낮음
① - 의약품 접근성 확대

지배구조

글로벌 공중보건 증진과 백신 공급 불균형 해소를 위해 이사회 및 ESG위원회 차원에서 의약품 접근성 확대 안건을 정기적으로 검토 및 감독하고 있습니다. 주요 투자안 및 글로벌 백신 파트너십, 펀드 출자 등은 내부 의사결정 프로세스를 통해 심의하고 있습니다.

전략

SK바이오사이언스는 글로벌 공중보건 증진과 의약품 불균형 해소를 위해 다양한 국가 및 글로벌 기관과 협력하여 백신 접근성을 확대하고 있습니다. 자체 개발 백신 포트폴리오인 SKYVAX 등을 통해 독감, 대상포진, 수두, 장티푸스 등 공중보건 부담이 큰 질환에 대응하며, 저소득·중간소득 국가(LMIC) 중심의 글로벌 공급을 지속 확대하고 있습니다. 또한, 세계 백신 공급망 불균형에 대응하기 위해 SKYShield 전략을 추진, R&D 및 생산기술을 현지에 이전하는 '글로컬라이제이션(Glocalization)' 기반 협력 모델을 통해 태국 등 보건 취약 지역의 백신 자립역량 강화를 지원하고 있습니다.

  • 기회: 저소득∙중간소득 국가 의료재정 비용 절감 및 새로운 시장 진출 기회 확보

위험 관리

SK바이오사이언스는 의약품 접근성 확대를 위한 신규 프로젝트 또는 투자 시, 투자심의위원회를 운영하여 전략적 적합성, 투자 경제성, 리스크, ESG 영향 등을 종합적으로 심의 및 검토합니다. 국제기구 중심의 공공조달 시장 참여, SKYShield 전략 대상국가 확대 등 의약품 접근성 확대를 위한 여러 안건들이 심의 및 검토되었습니다.

지표 및 목표

  • PAHO, UNICEF 등 국제기구 공급 지속 확대
  • 백신 공급 국가 지속 확대
  • 제품 품질관리 강화
② - 제품 안전 및 품질 강화

지배구조

SK바이오사이언스는 식품의약품안전처 및 각국 규제 기관의 가이드라인을 철저히 준수하며, 의약품 생애주기 전반에 걸쳐 제품의 안전성과 품질 관리를 체계적으로 수행하고 있습니다. 또한, 내부 감사 및 파트너사 품질 감사 체계, QA 운영 시스템을 기반으로 제품의 설계부터 생산·출하까지 전 단계에 걸친 위험 예방 중심의 품질관리 체계를 고도화하고 있습니다.

전략

SK바이오사이언스는 국제의약품규제조화위원회(ICH) 및 글로벌 기준에 기반한 품질 시스템을 구축해 의약품의 안전성과 품질 신뢰도를 지속적으로 제고하고 있습니다. 국내외 임상 및 상용화 제품의 생산·유통 전 과정에 GMP 기준과 품질 표준서를 적용하고 있습니다. 중요 공정은 현장에서 관리·감독하며, 공정 일탈 상황에 대한 실효적 관리와 데이터 완전성(Data Integrity) 확보를 통해 품질 운영체계를 지속적으로 고도화하고 있습니다.

  • 기회: 제품 신뢰성 제고를 통한 브랜드 가치 상승 및 매출 증대
  • 리스크: 제품 안전 및 품질관리 실패로 인한 제품 리콜 및 고객 신뢰 하락

위험 관리

SK바이오사이언스는 의약품 생애주기 전 단계에서 발생할 수 있는 품질 및 안전성 리스크를 선제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약물감시(PV) 시스템과 Safety Signal Detection 절차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의약전문가로부터 수집된 이상사례 보고 자료를 기반으로 위해 신호를 분석하고, 시판 후 품질 데이터를 활용해 이상사례 발생 여부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정보를 바탕으로 QA/QC 조직과 제조 부서 간 유기적인 협업을 통해 품질 이슈를 사전에 예방하고 있습니다.

공급망 리스크, 위탁생산 품질 문제, 규제 미준수 리스크 등을 사전에 식별해 대응 전략을 수립하고 있으며, 제품 회수, 고객 불만, 이상사례 등 주요 품질 이슈는 QMS(품질경영시스템)를 통해 체계적으로 기록·관리하고 있습니다.

지표 및 목표

  • 협력사 품질 및 안전 관리 제고를 위한 공급업체 교육 및 검사 강화
  • 효율적인 회수대상 의약품 관리를 위한 의약품 회수 시스템 구축∙운영
③ - 인재 확보 및 전문 인력 육성

지배구조

SK바이오사이언스는 CEO 보고 및 임원 회의체를 통해 인력 운영의 효율성을 점검하고, 핵심 프로젝트의 추진에 필요한 전문가 육성 및 전략적 인력 배치 등에 대한 의사결정을 하고 있습니다.

전략

우수 인재 확보를 위해 인적자원 수요를 사전 예측하고, 적합한 인재를 적시에 채용·유지할 수 있는 체계를 운영하고 있으며, 채용된 인재들이 조직에 빠르게 적응하고 성장할 수 있도록 ‘SKBS Academy’를 통해 직무별·직급별 맞춤형 교육 프로그램을 지속 운영하고 있습니다.

  • 기회: 우수 인재 채용 및 전문가 육성을 통한 지속가능한 혁신 촉진

위험 관리

SK바이오사이언스는 우수 인재의 선제적 확보와 직무역량 강화를 기업의 성장성과 생산성 향상에 직접적으로 기여하는 요소로 보고 있습니다. 전문성과 실행력을 갖춘 인재를 조기에 확보함으로써 고부가가치 R&D 프로젝트의 개발 속도를 높이고, 신규 백신 출시 일정 단축과 기술 상용화 가능성을 높여 매출 성장을 가속화할 수 있습니다. 또한, 글로벌 백신 교육협력 체계(WHO, IVI 등)와의 파트너십을 통해 양성된 글로벌 백신 전문가들은 향후 당사의 백신 수출 확대, 기술이전, 공동 연구개발 등의 기회 발굴로 이어질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지표 및 목표

  • 우수 인재 확보를 위한 채용 및 인재 pool 확대 중∙장기 전략 수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