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기후변화 대응

Net Zero Roadmap

Scope 1 & 2 Net Zero 로드맵

SK바이오사이언스는 2022년 SBTi(과학기반 감축 목표 이니셔티브)에서 제시한 방법론을 바탕으로 전체 사업장의 온실가스 배출량을 분석하고 2031년 온실가스 Net Zero 달성을 위한 목표와 이행전략을 최초 수립한 후 2024년 상반기 이를 업데이트하였습니다. Scope 1은 대부분이 안동 L House 보일러의 LNG 연료 사용에 의한 온실가스 배출이며 정부의 수소에너지 인프라 보급 정책 및 확장 계획에 따라 전환 목표를 달성하고자 합니다. Scope 2는 대부분이 전력 사용에 의한 온실가스 배출로 2024년 신재생에너지 구매 계약(PPA)1)을 체결하여 2027년부터 재생에너지를 공급받을 계획입니다.

2031 Net Zero Roadmap
자세한 내용은 아래div를 참고해주세요 자세한 내용은 아래div를 참고해주세요

(단위: tCO2eq)

  • 2021년 Scope1배출량:29% , Scope 2 배출량:16000 , Scope 1,2 배출량:
  • 2022년 Scope1배출량:28% , Scope 2 배출량:18000, Scope 1,2 배출량:
  • 2023년 Scope1배출량:30% , Scope 2 배출량:19000, Scope 1,2 배출량:
  • 2024년 Scope1배출량: , Scope 2 배출량:18000, Scope 1,2 배출량:
  • 2025년 Scope1배출량: , Scope 2 배출량:18000, Scope 1,2 배출량:
  • 2026년 Scope1배출량: , Scope 2 배출량:18000, Scope 1,2 배출량:
  • 2027년 Scope1배출량: , Scope 2 배출량:7000, Scope 1,2 배출량:
  • 2028년 Scope1배출량: , Scope 2 배출량:5000, Scope 1,2 배출량:
  • 2029년 Scope1배출량: , Scope 2 배출량:4000, Scope 1,2 배출량:
  • 2030년 Scope1배출량: , Scope 2 배출량:3000, Scope 1,2 배출량:
  • 2031년 Scope1배출량:0 , Scope 2 배출량:0, Scope 1,2 배출량:0
  • 1) PPA(Power Purchase Agreement) : 전력구입계약
  • 2025년 이후 배출량은 안동 G2+ 및 송도 R&PD Center 운영에 따라 변동 가능함
Scope 1 & 2 Net Zero 시나리오
직접 배출 (Scope 1)

수소에너지 전환 시나리오

Scope 1 고정 연소 배출량은 전체 배출량의 29% 수준이며 이 중 97% 이상이 안동 L House의 LNG 보일러에서 배출되고 있습니다. 현재 수소에너지는 클린 에너지로 주목받고 있지만, 수요와 공급, 정부 정책 및 인프라 등 전반적인 시장 환경이 안정되기까지 시간이 필요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에 SK바이오사이언스는 정부의 수소 인프라 보급/확장 계획 및 정책에 따라 점진적으로 수소 혼소를 시작할 예정이며, 단기 미래 시점의 수소 관련 법령과 수소 가격을 고려하여 유동적으로 혼소 비중을 조정할 것입니다. 그리고 수소 시장이 비교적 안정되는 시점부터 혼소 비중을 공격적으로 확대하여 2031년에는 100% 수소 연료 전환을 통한 Net Zero 달성을 계획하고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div를 참고해주세요 자세한 내용은 아래div를 참고해주세요
  • 2021년 LNG 사용량(TJ): 90, 수소 혼소량(TJ): , Scope 1 탄소배출량(tCO2e):
  • 2022년 LNG 사용량(TJ): 90, 수소 혼소량(TJ): , Scope 1 탄소배출량(tCO2e):
  • 2023년 LNG 사용량(TJ): 90, 수소 혼소량(TJ): , Scope 1 탄소배출량(tCO2e):
  • 2024년 LNG 사용량(TJ): 90, 수소 혼소량(TJ): , Scope 1 탄소배출량(tCO2e):
  • 2025년 LNG 사용량(TJ): 90, 수소 혼소량(TJ): , Scope 1 탄소배출량(tCO2e):
  • 2026년 LNG 사용량(TJ): , 수소 혼소량(TJ): 18.4, Scope 1 탄소배출량(tCO2e):
  • 2027년 LNG 사용량(TJ): , 수소 혼소량(TJ): , Scope 1 탄소배출량(tCO2e):
  • 2028년 LNG 사용량(TJ): , 수소 혼소량(TJ): , Scope 1 탄소배출량(tCO2e):
  • 2029년 LNG 사용량(TJ): , 수소 혼소량(TJ): , Scope 1 탄소배출량(tCO2e):
  • 2030년 LNG 사용량(TJ): , 수소 혼소량(TJ): 45.9, Scope 1 탄소배출량(tCO2e):
  • 2031년 LNG 사용량(TJ): 0, 수소 혼소량(TJ): 91.9, Scope 1 탄소배출량(tCO2e): 0
간접 배출 (Scope 2)

재생에너지 전환 시나리오

SK바이오사이언스에서 배출하는 온실가스의 약 71%는 Scope 2에서 발생하며, Scope 2의 98%는 전력에서 발생합니다. 따라서 화석연료를 기반으로 하는 기존의 전력원을 재생에너지로 전환하는 것이 당사의 Net Zero 핵심 전략입니다. SK바이오사이언스는 PPA 계약을 통해 재생에너지를 공급받고, 추후 안동 L House G2+ 및 송도 글로벌 R&PD Center 등 사업환경 변화에 따른 예상 배출량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여 감축 목표 이행에 반영하고자 합니다. 당사는 향후에도 급변하는 국내외 사업 환경 속에서 기후변화라는 중장기 리스크에 유연하게 대응해 나가겠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div를 참고해주세요 자세한 내용은 아래div를 참고해주세요

전력 사용량 (단위: MWh), 탄소배출량 (단위: tCO2eq)

  • 2021년 Scope 2 순배출량 (tCO2eq): , PPA 공급량 (MWh):
  • 2022년 Scope 2 순배출량 (tCO2eq): , PPA 공급량 (MWh):
  • 2023년 Scope 2 순배출량 (tCO2eq): , PPA 공급량 (MWh):
  • 2024년 Scope 2 순배출량 (tCO2eq): , PPA 공급량 (MWh):
  • 2025년 Scope 2 순배출량 (tCO2eq): , PPA 공급량 (MWh):
  • 2026년 Scope 2 순배출량 (tCO2eq): , PPA 공급량 (MWh):
  • 2027년 Scope 2 순배출량 (tCO2eq): , PPA 공급량 (MWh):
  • 2028년 Scope 2 순배출량 (tCO2eq): , PPA 공급량 (MWh):
  • 2029년 Scope 2 순배출량 (tCO2eq): , PPA 공급량 (MWh):
  • 2030년 Scope 2 순배출량 (tCO2eq): , PPA 공급량 (MWh):
  • 2031년 Scope 2 순배출량 (tCO2eq): 0, PPA 공급량 (MWh): 0
Net Zero 시나리오에 따른 재무 영향 분석

2022년 수립한 넷제로 로드맵 이행 시 에너지 & 탄소 비용의 영향을 IEA1) 의 SDS 기후변화 시나리오2)를 기반으로 산정한 결과, 중장기적으로 에너지 & 탄소비용 부담을 완화하게 될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단기적으로는 재생에너지 비용이 증가함에 따라 비용 부담이 상승할 것으로 보이나, SDS 시나리오의 정책적 탄소가격제 도입과 정부의 수소 인프라 확대 정책에 따른 가격 안정화 전망 등을 반영한 결과 에너지 & 탄소 비용은 2028년을 기준으로 절감될 전망입니다. 이후 Net Zero 달성 시점인 2031년까지 연평균 약 12억 원의 비용 절감이 예상됩니다. 당사는 2024년 상반기 업데이트한 재생에너지 전환 계획을 반영하여 기후 시나리오별 구체화된 재무영향을 재 도출할 예정입니다.

  • 1) IEA(International Energy Agency): 국제에너지기구
  • 2) IEA SDS (Sustainable Development Scenario): UN SDGs에서 권고하는 지속가능한 에너지 목표 달성을 가정한 시나리오로 파리기후협약 목표와 일치
에너지 & 탄소비용의 Value at Risk
자세한 내용은 아래div를 참고해주세요 자세한 내용은 아래div를 참고해주세요

(단위: 억 원)

  • 2022년 BAU 시나리오 에너지 & 온실가스 비용: , Net Zero 시나리오 에너지 & 온실가스 비용: , 재생에너지 투자에 따른 초기 Net Zero 비용 부담
  • 2023년 BAU 시나리오 에너지 & 온실가스 비용: , Net Zero 시나리오 에너지 & 온실가스 비용:
  • 2024년 BAU 시나리오 에너지 & 온실가스 비용: , Net Zero 시나리오 에너지 & 온실가스 비용:
  • 2025년 BAU 시나리오 에너지 & 온실가스 비용: , Net Zero 시나리오 에너지 & 온실가스 비용:
  • 2026년 BAU 시나리오 에너지 & 온실가스 비용: , Net Zero 시나리오 에너지 & 온실가스 비용:
  • 2027년 BAU 시나리오 에너지 & 온실가스 비용: , Net Zero 시나리오 에너지 & 온실가스 비용:
  • 2028년 BAU 시나리오 에너지 & 온실가스 비용: , Net Zero 시나리오 에너지 & 온실가스 비용: , 수소 비용 및 탄소 비용 감소에 따른 비용 절감 및 이익 확대
  • 2029년 BAU 시나리오 에너지 & 온실가스 비용: , Net Zero 시나리오 에너지 & 온실가스 비용:
  • 2030년 BAU 시나리오 에너지 & 온실가스 비용: , Net Zero 시나리오 에너지 & 온실가스 비용:
  • 2031년 BAU 시나리오 에너지 & 온실가스 비용: , Net Zero 시나리오 에너지 & 온실가스 비용: , Scope 1 ,2 Net Zero 이행 시, 에너지 & 탄소 비용

2028년 이후 연평균 12억 원의 비용 절감 효과 예상

  • Carbon Price(원/tCO2eq)1): IEA SDS(Sustainable Development Scenario) 데이터에 근거하여 2021년 49,109 원/tCO2eq에서 2031년 136,679원/tCO2eq으로 상승
  • PPA Tariff(원): 과거 10년간 전력 요금 상승 데이터와 독일 산업 Power Tariff 비용 예측 등을 활용하여 산출하였으며, 최소 150원에서 최대 242원으로 가정
  • 1) IEA, 2021. WEO Scenario

거버넌스 (Governance)

이사회의 관리•감독

SK바이오사이언스는 최고 의사결정기구인 이사회와 ESG위원회에서 기후변화 대응 전략과 활동 성과에 관한 안건을 다루고 있습니다. 이사회는 기후변화를 포함한 ESG 경영 요소 전반을 관리하고 감독하는 역할을 맡고 있으며, ESG위원회는 리스크와 기회 요인, ESG 경영 성과를 평가하고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이행 현황을 모니터링하여 이사회에 보고하고 있습니다. 한편, 이사회는 ESG 성과를 CEO의 핵심성과지표에 반영하고 보상 체계에 포함시킴으로써 기후변화 리더십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경영진의 역할

SK바이오사이언스는 전사적 주요 리스크에 대응하고자 ESG 협의체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ESG 협의체는 기후변화에 대응하는 경영전략 외에도 온실가스 감축 방안, 투자 활동 등 핵심적인 사안에 대한 의사결정을 진행하고, 이와 관련한 전략이나 리스크 관리 등 주관부서의 활동을 정기적으로 모니터링하고 있습니다. 아울러, ESG 협의체의 의사결정을 지원하고 전사 조직 내 실무자간 긴밀한 협업을 위해 ESG 실무협의체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기후변화 대응 추진체계
자세한 내용은 아래div를 참고해주세요 자세한 내용은 아래div를 참고해주세요
  • 이사회 보고
    이사회
    ESG위원회
    기후변화 관련 리스크 및 기회와 영향도 검토, Net Zero 목표 및 추진계획 논의 및 승인
  • 경영층 회의체
    ESG 협의체
    기후변화 대응 전략 및 Net Zero 로드맵 검토, 온실가스 감축 이행을 위한 전사 협력 촉진 등
  • 향후 운영 방향
  • 실무 회의체
    ESG 실무협의체
    전사 조직 간 실무협의체
    Net Zero 목표 수립 및 개선과저 도출, 유관부서 실행 지원 및 이행점검, 글로벌 이니셔티브 (TCFD, SBTi, CDP 등) 대응
    온실가스 규제 대응 및 감축과제 이행, 저탄소 연료/공정 도입 등
기후변화 대응 안건 관련 이사회의 관리감독 현황
기후변화 대응 안건 관련 이사회의 관리감독 현황
구분 일자 안건명 (의안 내용)
이사회 2024.4.24 그룹공동구매 PPA 계약 체결의 건
2022.11.23 기후변화 대응 경과 보고
2022.10.26 TCFD 보고서 발간 보고
2022.7.27 기후변화 대응 진행경과 보고
ESG위원회 2024.4.17 그룹공동구매 PPA 계약 체결의 건
2023.04.17 RE100 이행의 건
2022.10.13 TCFD 보고서 발간 보고
2022.7.20 기후변화 대응 진행경과 보고

전략 (Strategy)

Net Zero Operation-사업장에서의 Net Zero를 위한 중단기 전략

SK바이오사이언스는 SBTi1)에 근거하여 온실가스 Net Zero 목표와 로드맵을 수립하였습니다. 또한 2021년부터 자발적 온실가스 검증을 통해 사업장의 주요 온실가스 배출원마다 배출량을 파악하고 연료 전환 및 RE100 도입 전략을 수립하여 Net Zero 목표를 구체화했습니다. 이와 함께 Net Zero 비용의 경제성을 분석하여 Net Zero 목표에 따른 전략의 실행력을 강화했습니다.

  • 1) SBTi(Science Based Targets initiative): 과학 기반 감축 목표 이니셔티브
Net Zero in Value Chain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장기 전략

SK바이오사이언스는 전체 밸류체인 안에서의 감축 활동을 계획하기 위해 2022년 Scope 3 배출량 산정을 완료하였으며, 주요 카테고리에서의 온실가스 배출량을 파악하여 단계적으로 대응할 계획입니다. Scope 3 Net Zero를 위해 단기적으로는 사내외 차량을 전기차로 전환하는 등 점진적인 감축 전략을 이행하고 있으며, 장기적으로 제품 LCA 데이터와 업/다운스트림 배출량 DB를 취합할 예정입니다.

사업장 Net Zero Roadmap
자세한 내용은 아래div를 참고해주세요 자세한 내용은 아래div를 참고해주세요
  • 2021~2050년 : Scope 3 Value Chain 온실가스 감축 역량 강화
  • 2025~2030년 : Scope 2 재생에너지 공급 및 확대, 재생에너지 공급사 모색 및 계약 체결
  • 2024~2031년 : Scope 1 안동 L House LNG 보일러 연료 전환 Net Zero 목표 달성 (2031)
기후변화 리스크 및 기회 요인 평가

SK바이오사이언스는 2022년 TCFD의 권고에 따라 비즈니스의 지속성과 미래 기후변화 대응에 영향을 미치는 리스크와 기회 요인을 도출하였습니다. 정책적으로는 탄소 배출 규제 강화와 정책적 탄소 가격 도입이 기업의 탄소 감축을 가속화하는 동인으로 작용하고 있으며, 비재무 성과 공시를 의무화하는 트렌드는 탄소 감축 성과를 투명하게 공개하도록 유도하고 있습니다. 시장에서는 친환경 제품과 서비스에 대한 니즈가 증가함에 따라 저탄소/무탄소 제품의 프리미엄이 점차 확대되고 있습니다. 평판과 관련해서는 기후변화 대응 성과가 곧 조직의 브랜드 이미지에 영향을 미치게 되며, 이에 대응하기 위한 친환경 기술 및 R&D의 중요성이 강조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또한 이상기후 현상이 사업의 운영과 자산에 물리적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예상됩니다.

기후변화 요인
자세한 내용은 아래div를 참고해주세요 자세한 내용은 아래div를 참고해주세요

기후변화 이슈

  • 정책
    탄소 배출 규제 강화
    정책적 탄소 가격 도입
    비재무 성과 공시 의무화
  • 시장
    친환경 제품/서비스 니즈 증가
  • 평판
    기후변화 대응 성과에 따른 소비자 및 이해관계자의 인식 향상
  • 기술/R&D
    친환경 기술 요구 강화
    친환경 전환 비용 증가
  • 자연재해
    이상기후 현상에 따른 사업 영향
기후변화 리스크 및 기회 요인

기후변화는 다양한 리스크와 기회를 불러 일으키며, 이는 당사의 재무적 성과와 비재무 성과에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SK바이오사이언스는 기후변화가 사업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하여 전환 리스크 및 기회와 물리적 리스크로 분류하고 관련 요인을 평가하였습니다. 당사는 평가 결과를 바탕으로 꾸준히 기후변화 영향을 관리할 계획입니다.

전환 리스크/기회 기후변화 리스크 및 기회 요인,기후변화 이슈, SKBS Approach
구 분 기후변화 이슈 리스크 요인 기회 요인 SKBS Approach
전환 리스크/기회 정책/ 법률 탄소세 도입/탄소 배출 관련 규제
  • 정책적 탄소가격의 도입과 탄소비용 부담 증대
  • -
  • Net Zero 달성을 위한 계획수립 및 이행, 결과 공개
기후변화 대응 현황 공개 강화 트렌드
  • -
  • EU, 미국, 글로벌 기관의 기후변화 대응 현황 공개 의무화 대응에 따른 글로벌 공동사업 지속가능성 증대
  • 글로벌 이니셔티브 대응 강화 및 대외 신뢰도 확보
시장 지속가능한 Life Science에 대한 글로벌 니즈 확대
  • 전 세계적인 감염병, 질환 증가 및 확산에 적절히 대응하지 못할 경우의 기업가치 하락 가능성
  • 팬데믹 이후 백신 자급화 및 바이오안보(Biosecurity) 강화 트렌드 대응 필요성 확대
  • 기후변화 대응 선도를 통한 백신 사업자로서의 입지 강화 가능성
  • 기후변화로 인한 질병 확산 예방에 기여
  • Net Zero 목표 설정 및 이행 전략 공개
  • 개도국 등에 백신 공급 강화
  • 질병, 감염병 관련 R&D 강화, 제품 생산 및 공급 확대
이해관계자의 부정적 피드백과 사회적 비용이 증가할 가능성
  • 이해관계자의 기후변화 대응 강화 요구 증대
  • -
  • Net Zero 목표 설정
  • 이행 현황, 전략 공개 및 대외 커뮤니케이션 강화
평판 기후변화 대응 현황 공개 강화 트렌드
  • 글로벌 기업의 기후변화 대응 요구 수준에 부합하지 못할 경우, 연관사업(C(D)MO)에 참여할 기회 감소
  • -
기후변화 대응 성과와 커뮤니케이션에 대한 이해관계자의 인식
  • 기후변화 대응 지연으로 인한 브랜드 신뢰도 하락
  • 기후변화 대응을 포함한 Public commitment에 기반한 브랜딩 강화
  • 기후변화 대응 성과 모니터링 및 관리, 협력사 확산 장려
  • 감염병 대응 현황에 관한 대외 커뮤니케이션 강화
기술 환경영향 저감 기술에 대한 요구 강화와 저탄소 전환 비용 증가
  • 폐기물, 일회용 포장재로 인한 환경영향 부담 확대
  • 유기용매, 의약품 유출 등 제조 과정 중 수생 생태계 오염
  • 공동 연구기관의 연구 지연/연구 참여 기회 감소
  • -
  • 포장재 간소화, 업사이클링, 재활용 소재 대체 등
  • 저탄소 제품 R&D 계획 수립
물리적 리스크 기후변화 리스크 및 기회 요인,기후변화 이슈, SKBS Approach
구 분 기후변화 이슈 리스크 요인 SKBS Approach
물리적 리스크 급성 폭염
  • 기온 및 습도 상승으로 인한 감염병, 온열 질환 증가
  • 기온 상승과 폭염으로 인한 생산시설, 사무실 전력 사용량 증가 및 비용 상승
  • 감염병, 온열 질환 가능성 검토 및 대응 강화
  • 전력 사용량 모니터링 및 관리
  • 개선방안 도출 및 이행
산불
  • 산불로 인한 사업장 시설과 구조물, 인명, 재산 피해 가능성 증가
  • 사업장 안전보건 경영방침 수립 및 이행
  • 안전보건 전담조직 구성
  • 시설물 정기 진단 및 점검 진행
  • 재해 예방 위험성 평가 및 개선
  • 안전환경 목표/성과 관리체계 운영
태풍
  • 강풍으로 인한 사업장 시설, 구조물 손실 가능성
  • 시설 손실에 따른 인명 사고 및 재산 피해
집중호우
  • 집중호우로 인한 하천 범람, 외수 역류 및 저지대 침수
만성 이상기후 현상 증가
  • 곤충,설치류 등의 서식 환경 변화로 인한 매개성 감염병 전파 및 확산
  • 신종 감염병, 인수공통감염병 가능성 검토
  • 감염병 사전 대응 강화
평균 기온 상승
  • 생산시설과 사무실의 전력 및 냉방 설비 용량 확대에 따른 투자 비용 증가
  • 고전력 설비 교체 및 운영 효율화 추진
  • 사업장 에너지 효율화 추진(친환경 건축물 설계, 인증 등)

리스크 관리 (Risk Management)

기후변화 리스크 관리체계

SK바이오사이언스는 재무적 성과와 비재무적 성과에 직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기후변화 리스크를 관리하고자, 재무적 영향 기간(단기/중기/장기)과 재무적 영향 등 중대성을 고려하여 잠재적인 기후 관련 리스크를 평가하고 있습니다. ESG 전담부서는 주관부서와 협의하여 기후 관련 리스크를 식별하여 평가하고 경영진에게 보고하며, 경영진은 식별된 리스크와 기회가 경영에 미치는 실제적, 잠재적인 영향을 의사결정에 반영하고 있습니다. 더불어 국내외 기후변화 정책 목표, Net Zero 추진 목표 및 성과, 기후 리스크의 노출 수준을 리스크 관리체계에 반영하며, 도출된 주요사항은 ESG위원회와 이사회에 보고합니다.

당사의 ESG위원회는 현재 기후변화 리스크와 기회를 체계적으로 모니터링하고 있지만, 추후 사업상 리스크를 통합하여 관리하는 ERM1) 체계에 기후변화 리스크 관리를 내재화할 계획입니다. 이에 따라 중대한 기후변화 리스크가 발생할 경우 전사에 미칠 잠재적 영향을 파악하고 대응방안을 제시함으로써 기후변화로 인한 부정적 리스크를 최소화할 것입니다.

  • 1) ERM(Enterprise Risk Management): 전사 리스크 관리체계
기후변화 리스크 관리 프로세스

1. 기후 관련 리스크 식별

  • ESG위원회를 통해 기후 리스크 수반 사업 및 운영 관련 리스크 이사회 보고
  • 향후 신규 사업 및 신규 투자 시 기후 리스크를 적용하기 위해 실무 부서와 ESG 전담 부서에서 리스크를 식별하고 경영진과 이사회에 보고

2. 기후 관련 리스크 평가

  • ESG 전담부서 : 기후 관련 리스크의 기준(규모, 운영활동 및 역량, 리스크 경감 의지 등)을 고려하여 투자 및 사업 리스크 평가
  • 바이오 섹터 특성, 운영 및 거래 특성과 규모 등에 따라 평가 범위를 조정할 수 있으며, 평가 결과에 따라 Metrics 설정

3. 리스크 관리 활동

  • 사업 분야별 리스크를 관리하기 위한 정책 이행, 온실가스 배출량 등 데이터 수집 및 분석
  • 기후 관련 리스크를 공개하고 정보의 정확성, 명확성, 비교 가능성, 적시성 등에 대한 외부 검증 수행
  • 기후 관련 Metrics의 관리 가능한 리스크 노출 축소, 개선 가능한 Targets 결정

4. 결과 보고

  • ESG 전담부서 : 리스크 노출 수준, Metrics 및 Targets 이행 수준 등 결과 보고
  • 기후 관련 리스크가 높은 투자와 사업은 대표이사의 승인과 외부 전문가의 자문을 받고 내부 직원이 정기적으로 검토하여 사업 책임자와 관리방식을 개선하고 지속가능한 사업으로의 전환을 모색

지표 및 목표 (Metrics & Targets)

Net Zero 목표 이행

SK바이오사이언스는 중장기적으로 재생에너지 도입을 통해 재생에너지 사용을 확대함으로써 온실가스 배출량을 감축하고자 합니다. 안동 L House의 관류형 보일러 LNG 연료를 단계적으로 수소로 전환하고자 하며, 태양광 발전 에너지로 전력을 공급하는 등 재생에너지 사용량 확대를 통해 2031년 Net Zero 목표를 달성할 예정입니다.

2023~2031년 Net Zero 목표대응
구 분 단위 2023 2024 2025 2026 2027 2028 2029 2030 2031 목표 연도
Net Zero 목표 대응 Scope 1 감축률 % 0 0 0 10 10 20 30 50 100 2031
Scope 2 감축률 % 0 0 0 0 90 90 90 90 100
사업장 온실가스 감축, Scope 3 온실가스 감축 내용과 목표 연도
구분 내용 목표 연도
사업장 온실가스 감축 재생에너지 사용량 23,277 MWh 2027
재생에너지 사용 비율 90%
Scope 3 온실가스 감축 Scope 3 온실가스 배출량 11,030 tCO2eq 2050
2021~2023년 에너지 총 사용량 , 온실가스 배출량
구 분 단위 2021 2022 2023
에너지 총 사용량 TJ 347.5 383.7 400.8
온실가스 배출량 tCO2eq 16,927 18,491 19,377
Net Zero Scope 3 산정 결과 및 관리 계획

SK바이오사이언스는 사업장에서 발생하는 온실가스뿐만 아니라 전체 Value Chain의 온실가스를 감축하고자 Scope 3 온실가스 배출량을 산정하고 지속적으로 관리하고 있습니다. Scope 3 온실가스 배출량을 산정하기 위해, 산정에 필요한 주요 카테고리와 국내외 기준에 부합하는 방법론을 선정하고 원재료 구매 금액과 수량, 연료 사용량과 배출계수 등의 데이터를 식별하여 수집했습니다. 향후 데이터를 수집하고 분석하는 템플릿과 방법론을 고도화하여 Scope 3 온실가스 배출량을 꾸준히 관리할 예정입니다.

SK바이오사이언스의 Scope 3 온실가스는 대부분 카테고리 1번(구매한 제품 및 서비스)과 2번(자본재)에서 배출됩니다. 따라서 두 카테고리에서 동시에 온실가스 배출을 줄이기 위해 협력사를 집중적으로 관리하는 등 Value Chain 온실가스를 감축하기 위해 앞으로도 주요 이해관계자들과 지속적으로 협력해 나갈 것입니다.

온실가스 배출 현황 : Scope 3
카테고리 배출량(tCO2eq) 비율(%)
1 구매한 제품 및 서비스 82,251 71%
2 자본재 20,517 18%
3 에너지 1,070 1%
4 업스트림 운송 4,248 4%
5 폐기물 699 1%
6 출장 567 0%
7 통근 997 1%
8 임차 - 0%
9 다운스트림 운송 3,272 3%
10 가공 - 0%
11 제품 사용 2,436 2%
12 제품 폐기 8 0%
13 임대 - 0%
14 프랜차이즈 - 0%
15 투자 - 0%
합계 116,063 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