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Facts & Figures

ESG 데이터 보고 및 표기법

  • 본 데이터는 SK바이오사이언스의 국내 사업장(본사, R&D 센터, 안동 L HOUSE)을 주요 보고 범위로 하며, 2024년부터 연결 재무제표에 포함된 자회사인 IDT Biologika와 TEW Service의 일부 항목에 한해 연결 기준 데이터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 항목별 정보의 가용성과 운영 현황에 따라 보고 수준은 상이하며, 연결 기준 데이터가 포함된 경우 해당 지표에는 별도의 표기를 통해 이를 명시하였습니다.

이사회

이사회 구성
2022~2024년 이사회 구성
데이터 명 단위 2022 2023 2024
이사회 구성1) 사내이사(상임이사) 수 2 2 2
사외이사 수 4 3 4
기타비상무이사 수 1 1 1
합계 7 6 7
사외이사 비율 % 57.1 50.0 57.1
다양성 30~50세 이사 수 0 0 0
50세 이상 이사 수 7 6 7
남성 이사 수 6 6 7
여성 이사 수 1 0 0
이사의 전문성 감사위원회 내 회계/재무 전문성을 갖춘 위원 수2) 1 1 1
당사 산업 경험을 보유한 사외이사/기타비상무이사 수 1 1 2
이사의 효율성3) 사외이사의 평균 참석률 % 98.0 100 99.1
이사의 이사회 최소 참석률 % 80.0 92.8 85.7
이사의 이사회 평균 참석률 % 96.0 98.8 97.5
  1. 1)매해 연말기준 이사의 수
  2. 2)CFA, CPA, 회계재무 등 유관 경력이 있는 이사의 수
  3. 3)조미진 前 사외이사(2023년 1월 1일~2023년 12월 5일)의 2023년도 이사회 출석률을 반영함
이사회 활동
2022~2024년 이사회 활동
데이터 명 단위 2022 2023 2024
이사회 개최회수 15 14 17
ESG 관련 안건 검토 횟수 101) 31) 4
사외이사 활동 사외이사가 반대 또는 수정의견을 제시한 안건 수 1 0 0
소위원회 개최횟수 ESG위원회 개최횟수 6 8 7
인사위원회 개최횟수 6 7 4
사외이사후보추천위원회 개최횟수 0 2 3
감사위원회 개최횟수 10 8 6
내부거래위원회 개최횟수 3 3 3
  1. 1)데이터 단순 오기재로 수정함
인사위원회 운영현황
2022~2024년 인사위원회 운영현황
데이터 명 단위 2022 2023 2024
총 인원 3 3 3
사외이사 수 2 2 2
사외이사 참석률 % 100 100 100
사외이사후보추천위원회 운영현황
2022~2024년 사외이사후보추천위원회 운영현황
데이터 명 단위 2022 2023 2024
총 인원 3 3 3
사외이사 수 3 3 3
사외이사 참석률 % 01) 100 100
  • 1)사외이사후보추천위원회 개최가 없음에 따라 참석률이 0으로 산출됨
감사위원회 운영현황
2022~2024년 감사위원회 운영현황
데이터 명 단위 2022 2023 2024
총 인원 3 3 3
사외이사 수 3 3 3
사외이사 참석률 % 100 100 100
CEO 및 구성원 보수
2022~2024년 CEO 및 구성원 보수
데이터 명 단위 2022 2023 2024
CEO 보수 CEO의 연간 총 보상 백만 원 7,244 5,282 703
CEO 보수의 전년 대비 증감률 % 624 -27 -87
CEO 보수의 연간 총 보상 비율 % 835 5.8 0.9
CEO 보수의 연간 총 보상 비율 증감율 % 607 -32 -84
구성원 보수 CEO(또는 상응하는 직책)를
제외한 전 구성원 보수
백만 원 81 86 80
CEO(또는 상응하는 직책)를
제외한 전 구성원 보수 증감률
% 19 6 -7
이사진 보수
2022~2024년 이사진 보수
데이터 명 단위 2022 2023 2024
1인당
평균 지급액
합계1) 백만 원 2,570 1,555 293
사내이사 백만 원 7,245 5,234 812
사외이사 백만 원 89 105 106
기타비상무이사 백만 원 3,1432) - -
지급총액 합계 백만 원 17,987 10,888 2,051
사내이사 백만 원 14,490 10,468 1,625
사외이사 백만 원 354 420 426
기타비상무이사 백만 원 3,143 -3) -3)
  1. 주요 보수항목에는 급여, 상여, 주식매수선택권 행사이익 등이 포함됨
  2. 1)1인당 평균 지급액 합계=지급총액/총 이사진수로 산출함
  3. 2)스톡옵션 행사이익
  4. 3)보수수령 없음

윤리∙준법 경영

윤리경영 교육 이수 현황
윤리경영 교육 이수 현황
데이터 명 단위 2022 2023 2024
교육을 이수한 구성원 비율 % 99 99 99
Workshop 1인당 교육 시간 시간 1 1 1
교육 참여 인원 861 807 896
온라인 교육 1인당 교육 시간 시간 1 1 1
교육 참여 인원 918 941 978
법규/규제 위반 현황
법규/규제 위반 현황
데이터 명 단위 2022 2023 2024
개발도상국 임상시험 관련 위반 건수 0 0 0
벌금 천 원 0 0 0
경쟁저해행위, 독과점,
불공정 거래 관련
위반 건수 0 0 0
벌금 천 원 0 0 0
고객정보보호 위반 위반 건수 0 11) 0
벌금 천 원 0 1,0001) 0
국내 마케팅 관련 위반 건수 0 0 0
벌금 천 원 0 0 0
위조제품 관련 위반 건수 0 0 0
벌금 천 원 0 0 0
제품정보 제공 위반 관련 위반 건수 0 0 0
벌금 천 원 0 0 0
제품 및 서비스의 안전보건 영향 관련 경고받은 건수 0 0 0
벌금 또는 처벌을 받은 건수 0 0 0
자율규정 위반 건수 0 0 0
  • 1)2023년 개인정보 보호법 위반에 따른 과태료 처분 1건이 발생하였으며, 해당 내용은 당시 ESG 보고서에 누락되어 ‘0건’으로 기재됨. 본 보고서(2024년 기준)에서는 이를 반영하여 정정 고지하며, 정보의 신뢰성과 투명성을 제고하기 위해 관련 관리체계를 개선함.
윤리 제보/처리/징계 현황 (연결)
윤리/제보/처리/징계1) 현황 (연결)
데이터 명 단위 2022 2023 2024
Total SKBS IDT TEW
윤리 관련
제보 현황
신고채널 내 접수된 위반 건수 19 13 18 15 3 0
신고채널 내 접수된 위반 건수 중 처리된 건수 19 13 18 15 3 0
신고채널 내 신고 접수 건수 중 처리된 건수의 비율 % 100 100 100 100 100 0
윤리 관련
제보 유형
협력업체(BP) 대상 부정 및 갑질 0 0 0 0 0 0
구성원간 인격 존중 미흡 5 3 3 3 0 0
차별 또는 괴롭힘 1 0 1 1 0 0
부적절한 업무 처리 10 8 11 8 3 0
직무상 이해상충 2 1 0 0 0 0
사회적 가치 훼손 1 0 1 1 0 0
준법위반 0 1 2 2 0 0
윤리 관련 처리 및 징계 현황 해고 0 0 1 1 0 0
정직 6 2 1 1 0 0
감봉 11 1 4 4 0 0
견책 9 1 2 2 0 0
경고 (구두/서면) 14 3 14 14 0 0
기타 (확인불가, 기각) 0 0 2 2 0 0
윤리 제보/처리/징계 현황 (SKBS)
윤리/제보/처리/징계 현황 (SKBS)
데이터 명 단위 2022 2023 2024
윤리 관련
제보 현황
신고채널 내 접수된 위반 건수 19 13 15
신고채널 내 접수된 위반 건수 중 처리된 건수 19 13 15
신고채널 내 신고 접수 건수 중 처리된 건수의 비율 % 100 100 100
윤리 관련
제보 유형
협력업체(BP) 대상 부정 및 갑질 0 0 0
구성원간 인격 존중 미흡 5 3 3
차별 또는 괴롭힘 1 0 1
부적절한 업무 처리 10 8 8
직무상 이해상충 2 1 0
사회적 가치 훼손 1 0 1
준법위반 0 1 2
윤리 관련 처리 및 징계 현황 해고 0 0 1
정직 6 2 1
감봉 11 1 4
견책 9 1 2
경고 (구두/서면) 14 3 14
기타 (확인불가, 기각) 0 0 2

리스크 관리

정보보안
정보보안
데이터 명 단위 2022 2023 2024
정보보안 교육 임직원 보안교육 참여 인원 895 1,020 1,034
협력직원 보안교육 참여 인원 66 106 109
1인당 교육 시간 시간 2 2 1
정보보호 투자 전체 IT 예산 대비 정보보호 관련 투자 금액 비율 % 17.9 16.6 17.8
정보보호 관련 투자 금액 백만 원 2,807 2,789 3,441
전체 IT 예산 백만 원 15,721 17,540 19,336
고객 정보보호 고객 개인정보와 관련된 정보보안 위반/사고 발생 0 1 0
외부 당사자/제보자에 의해 접수되고 기관이 입증한 불만 건수 0 0 0
정보 침해 관련 규제 기관에 의한 불만 건수 0 0 0
정보보안 관련 벌금 또는 과태료 총액 백만 원 0 1 0
회사의 데이터 침해로 인해 영향을 받은 고객 0 0 0

소유구조 및 주주

주주 구성 및 주주총회
2022~2024년 주주 구성 및 주주총회
데이터 명 단위 2022 2023 2024
발행 주식 총 발행 주식 수 76,784,046 76,827,750 78,347,293
의결권이 있는 주식 수 76,784,046 76,827,750 78,347,293
의결권이 없는 주식 수 0 0 -
주주총회 정기주주총회 장소 및 안건 사전 통지일 일 전 24 26 29
  • 주주제안권 상법 제363조의2, 542조의 6에 따라 의결권 있는 발행주식총수의 3% 소유 주주 또는 정기주주총회일의 6월 전부터 계속하여 1% 이상 보유한 주주는 직전연도 정기주주총회일의 6주 전까지 서면 또는 전자문서로 일정한 사항을 주주총회 목적사항으로 제안할 수 있습니다. 이사회는 주주제안의 내용이 법령 또는 정관에 위반되거나 상법 시행령 제12조에서 정하는 거부 사유에 해당하는 경우를 제외하고, 주주총회의 목적사항으로 하여야 합니다. 주주 제안자의 청구가 있는 경우 해당 의안의 주요내용을 소집통지서에 반영하거나, 주주총회에서 해당 의안을 설명할 기회를 제공합니다.
주주총회 운영

주주총회에 참석한 주주는 의안 결의 전에 주주총회에 상정된 안건에 대해 자유롭게 의견을 개진하고 질의 및 설명 등을 요구할 수 있습니다.

주주총회 운영
항목 도입여부
서면투표 미도입
전자투표 도입
집중 투표제 미도입
서면위임장 제출을 통한 의결권 행사 보장 도입
전자위임장 제도 도입
의결권 대리행사 도입
제7기 정기주주총회
  1. 1. 일시: 2025년 3월 26일 (수) 오전 9:00 
  2. 2. 장소: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판교로 310(삼평동) ECOLab 지하2층 G.rium Hall
  3. 3. 회의 목적사항
    1. 가. 보고사항 : 영업보고, 감사보고, 내부회계관리제도 운영실태 보고
    2. 나. 의결사항
      • 제1호 의안 : 제7기 (2024.01.01~2024.12.31) 재무제표 승인의 건
      • 제2호 의안 : 사외이사 선임의 건 (후보 : 이의경)
      • 제3호 의안 : 감사위원회 위원 선임의 건 (후보 : 박선현)
      • 제4호 의안 : 이사 보수한도 승인의 건

제7기 주주총회 결과

제7기 주주총회 결과
구분 결의 구분 회의 목적사항 가결 여부 의결권 있는 발행주식 총수(1) (1) 중 의결권 행사 주식수 찬성 주식수 찬성 주식 비율 (%) 반대 기권 등 주식수 반대 기권 등 주식 비율 (%)
제1호 의안 보통 제7기 (2024.01.01~2024.12.31)
재무제표 승인의 건
가결 78,347,293 61,368,639 60,667,969 98.9 700,670 1.1
제2호 의안 보통 사외이사 선임의 건 (후보 : 이의경) 가결 78,347,293 61,368,639 61,252,503 99.8 116,136 0.2
제3호 의안 보통 감사위원회 위원 선임의 건 (후보 : 박선현) 가결 27,568,268 10,589,499 10,348,085 97.7 241,414 2.3
제4호 의안 보통 이사 보수한도 승인의 건 가결 78,347,293 61,368,639 57,800,992 94.2 3,567,647 5.8

※ 발행주식 총수: 78,347,293

제7기 주주총회 결과
구분 의결권 주식수 의결권 행사 주식수 최대주주 등1) 기타주주 의결권 행사 비율2) 최대주주 등 제외 의결권 행사 비율3)
제 1, 2, 4호 의안 78,347,293 61,368,639 52,059,724 9,308,915 78.33% 11.88%
제 3호 의안4) 27,568,268 10,589,499 2,350,418 8,239,081 38.41% 29.89%
  1. 1)최대주주 등 : SK케미칼(주) 및 특수관계인
  2. 2)의결권 행사 비율 : 의결권 행사 주식수/의결권 주식수
  3. 3)최대주주 등 제외 의결권 행사 비율 : 기타주주/의결권 주식수
  4. 4)제3호 의안 : 감사위원 선임 의안의 경우 의결권 주식 수 산출시 3% rule 적용 (의결권 있는 주식의 3%를 초과 보유한 주주는 그 초과하는 주식의 의결권을 행사할 수 없음)